중년여성의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거주하는 368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326부의 설문지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변인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SPSS 21.0과 AMOS 20.0을 사용하였다. 변인들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년여성의 신체이미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정적관계가 있다. 둘째, 중년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신체이미지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신체이미지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을 하고 자아존중감이 높아져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 안에서 자신의 신체적 노화를 수용하던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노화에 대한 수용과 한계를
넘어서 자신의 외모를 관리하며 자신감을 갖고 자신을 표현하며 다양한 사회참여를 하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영향을 주어 생의 제 2막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body ima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68 middle-aged women living in Busan on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SPSS 21.0 and AMOS 20.0 were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variabl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middle-aged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body image of middle-aged women, the higher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higher self-esteem,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iddle-aged women who have accepted their physical aging at home, manage their appearance beyond the limits and acceptance of their aging, express themselves with confidence, engage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have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intended to help them lead a happy life in the second act of life by influencing them to for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Author(s)
- 이정미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중년여성 신체이미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35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07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 Advisor
- 천성문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가설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중년여성 11
2. 신체이미지 13
3. 외모관리행동 15
4. 자아존중감 17
5. 대인관계 19
Ⅲ. 방 법 26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6
2. 측정도구 28
3. 자료분석 31
Ⅳ. 결 과 33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3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35
3. 경로모형 검증 37
4. 간접효과 분석 39
V. 논 의 40
참고문헌 46
국문초록 61
부록 62
1. 신체이미지 척도 62
2. 외모관리행동 척도 63
3. 자기존중감 척도 64
4. 대인관계 척도 6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