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교수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 동기 및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personal on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Abstract
-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상호소통방식이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 동기와 수업참여가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중국 체육학과 대학생 1,09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집한 설문지 1,090부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연구에 사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356부를 제외한 총 734부의 설문결과를 분석을 위한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주로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체육 교수자의 자율성지지 상호소통방식은 심리적 욕구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상호소통방식은 심리적 욕구 좌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욕구 만족은 자기결정동기(자율성 동기, 통제동기, 무동기)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욕구 좌절은 자율성 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통제동기, 무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 동기는 수업참여(행동참여, 정서참여, 인지참여, 주체적 참여)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동기는 체육수업참여(행동참여, 정서참여, 인지참여, 주체적 참여) 모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동기는 정서참여, 인지참여, 주체적 참여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와 자기결정 동기의 충족을 위해 관심, 배려, 보살핌, 지지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열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체육 현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신중한 방식으로 교사가 통제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부분적으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control interpersonal,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ngagement.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1,090 college students in the Chine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Of the 1,090 collected questionnaires, 734 samples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 for analysis, excluding 356 samples judged to be inappropriate for use in the study due to insincere responses. Data analysis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y suppor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terpersonal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he control interpersonal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needs frustration. Second,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y motivation, control motivation, and a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autonomy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physical education engagements (behavior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 and control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physical education engagements (behavior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gentic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on the other hand, a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ly on emotion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 Therefore,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ers interpersonal can improve students' enthusiasm for class participation through interest, consideration, care, support,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o satisfy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ich is important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teacher's control interpersonal in a prudent manner has great significance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Author(s)
- YUAN RUI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자율성지지 통제 방식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 동기 학습 참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36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637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송 용 관
-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1
2.연구의 목적 4
3.연구가설 4
4.연구모형 5
5.연구의 제한점 6
Ⅱ.이론적 배경 7
1.교사의 상호소통방식 7
2.자기결정 동기 14
3.기본 심리적 욕구 이론2 1
Ⅲ.연구방법 26
1.연구대상 26
2.측정도구 28
3.자료 수집 및 분석 32
4.조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3
Ⅳ.연구결과 46
1.기술 통계 분석 46
2.상관분석 53
3.회귀분석 56
Ⅴ.논의 67
1.체육 교사의 상호소통방식과 심리적 욕구 간의 관계 68
2.심리적 욕구와 자기결정 동기 간의 관계 71
3.자기결정 동기와 학습 참여의 관계 74
Ⅵ.결론 및 제언 77
1.결론 77
2.제언 79
참고문헌 81
국문 초록 94
부록 96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