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병렬 말뭉치 분석을 통한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ducation Methods of Korean Connective Ending ‘-daga (-다가)’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through Korean-English Parallel Corpus Analysis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을 고찰하고, 한·영 병렬 말뭉치에서 추출한 실제 ‘-다가’의 용례를 활용하여 ‘-다가’의 영어 대응 양상을 분석한 후에 그를 바탕으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다가’의 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사전과 문법서, 그리고 기존 연구에 제시된 ‘-다가’의 의미기능을 고찰한 후에 그것을 종합하여 ‘-다가’의 의미기능을 중단전환과 지속전환, 인과로 유형화하였고, ‘-다가’의 통사적 특성을 주어·서술어 일치 제약, 선·후행절의 서술어 제약, 문장 종결 제약으로 나누어 전환과 인과의 의미기능별로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다가’의 영어 대응 양상을 밝히기 위해 한·영 병렬말뭉치에서 ‘-다가’의 실제 용례를 추출한 후 의미기능별로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다가’의 영어 대응 표지는 품사별로 접속사, 전치사, 부사, 분사 구문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상위 60% 이상은 모두 while, after, when, and와 같이 시간과 관련된 접속사로 나타났다. 의미기능별 빈도수는 중단전환의 빈도수가 제일 높았고 지속전환과 인과가 비슷한 수로 그 뒤를 이었다. 의미기능별로 영어대응 표지를 살펴보면, 중단전환은 접속사 and, after, while, but 순으로 나타났고, 지속전환은 접속사 while, when, and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과는 while, and, when, because 순으로 나타났다. 세 의미기능 모두 시간과 관련된 접속사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공통점을 보였지만, 중단전환은 시간의 선후관계를 함축하고 있는 and의 빈도수가 특히 높았고, 지속전환은 시간의 지속성을 나타내는 while의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인과는 지속전환에서 많이 나타난 while의 빈도수가 높음과 동시에 중단전환에서 많이 나타난 and 역시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권 학습자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연결어미라는 문법항목이 없어 ‘-다가’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영어권 학습자들에게 ‘-다가’에 대응하는 적절한 영어표현의 제시가 가능하므로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다가’ 학습의 유용한 기초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Author(s)
- 공주미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연결어미 '-다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40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25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Advisor
- 권성미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선행연구 검토 및 필요성 8
1.3 연구 내용 17
Ⅱ.연결어미 ‘-다가’의 특성 19
2.1 연결어미 의미적 특성 19
2.2 연결어미 통사적 특성 32
Ⅲ. ‘-다가’의 의미기능별 영어 대응 양상 분석 41
3.1 분석 방법 44
3.2 분석 결과 49
3.2.1 중단전환 52
3.2.2 지속전환 58
3.2.3 인과 63
3.3 시사점 68
Ⅳ.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다가’의 교육방안 70
4.1 한국어 교육 과정 및 교육 자료 탐구 70
4.1.1 교육 과정 분석 70
4.1.2 교육 자료 분석 71
4.1.3 개선점 76
4.2. ‘-다가’의 수업모형 78
4.2.1 중단전환, 지속전환 78
4.2.2 인과 87
Ⅴ. 결론 97
참고 문헌 10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