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항만재생을 위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 북항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dentity Design for Port Regeneration - Focused on the Busan North Port -
Abstract
시대의 변화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최근 몇 년 동안 국제 해운은 빠르게 변화하고 항만기능의 쇠퇴, 항만시설의 노후화와 신항만 건설 후 산업분포가 넓어졌다는 등의 여러 원인으로 인해 많은 항구가 폐항과 방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항만 원래의 기능이 변화됨에 따라 항만 인접 도시는 강점을 살려 친수공간을 구축하는 등 공공환경이 보편화되었고, 각 항만대국들은 해양산업의 쇠퇴로 도시재생의 형태로 도시공간을 재구성하고 활성화하여 생활하기 좋고 풍요로운 도시를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측면에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하여, 항만지역의 독특한 공간적 특성과 가치에 접근하여 환경적 조건을 형성시키고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준다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항만지역의 질 향상에 중대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항재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처음부터 계획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하고 북항의 발전목표를 실현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 부산 북항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부산은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항만도시이다. 그 중에서 북항은 부산 항구도시를 해양도시로 바꾸는 가장 중요한 항만이다. 따라서 항만 및 주변 일대 역사적 특성과 해양산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항만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점에서 출발하여 활성화하고 지속 가능한 항만 재생지역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은 이론고찰을 거쳐서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부산 북항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항만지역 아이덴티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 다음은 연구모형 및 가설을 제시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방법론을 입론의 기초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결합하여 선행연구를 평가 기준과 핵심요소로 DCMP-IDD-CRegen(Design Components–Identity Design – City Regeneration)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을 거쳐서 모든 연구가설을 검증하며 채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디자인 구성요소는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은 항만재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연구한 결과를 참조하여, 먼저 부산 북항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는 앞으로 북항에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실제로 적용하는 계획도 알려지고 디자인 요소별 나눠서 적용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및 개발 방향모색을 활용해서 항만재생을 위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하여 항만 또는 도시 전체를 활성화하고 발전하는 것은 연구대상지 부산 북항 및 다른 항만 재생지역에서 적용하여 응용함으로써 현지의 정체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항만지역의 전반적인 공공환경과 문화를 디자인적인 차원에서 더욱 잘 계획하고 재생을 통해 항만지역의 경제, 문화, 삶의 질을 극대화한다. 항만 재생지역을 특성화하여 사회의 발전과 지역의 번영을 촉진할 수 있으며, 다방면의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해양산업에 더욱 광활한 시장을 개척하고 해양디자인 영역의 발전에 탁월한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Author(s)
YANG MINGYIN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항만재생 지역 아이덴티티 아이덴티티 디자인 해양디자인 항만도시재생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40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0220
Alternative Author(s)
양명인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3. 연구 흐름도 5
II. 이론적 배경 6
1. 항만 도시재생 6
가. 도시재생의 개념 6
나. 도시재생의 분류 및 유형 8
다. 마리나 항만 10
라. 항만 도시재생 13
2. 지역 아이덴티티 17
가. 지역 아이덴티티의 개념 및 구성 17
나. 지역 아이덴티티의 특성 20
Ⅲ. 항만재생을 위한 지역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22
1. 연구 대상지 부산 북항에 대한 연구 22
가. 대상지 현황조사 22
나. 연구 필요성 29
2. 지역 아이덴티티를 통한 항만재생 선행연구 및 현황조사 29
가. 선행연구 고찰 30
나. 해외 선행연구 현황조사 33
다. 한국 선행연구 현황조사 36
3. 항만재생을 위한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사례조사 및 분석 38
가. 사례 선정기준 및 분석항목 설정 38
나. 해외 사례조사 및 분석 41
다. 한국 사례조사 및 분석 59
4. 소결 63
Ⅳ.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제시 66
1. 입론 방법론 및 연구모형 66
2. 연구가설 67
가. 디자인 구성요소와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한 가설 68
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과 항만재생에 관한 가설 68
3. 통계와 분석도구 69
4. 설문 예비조사 69
Ⅴ. 실증적 연구 72
1. 정식조사 72
2. 표본의 특성 72
3.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74
가. 신뢰성 검증 74
나. 타당성 검증 75
4. 변수의 특성 77
5. 상관관계 분석 81
6. 가설검증 82
가. 디자인 구성요소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미치는 영향 82
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의 항만재생에 미치는 영향 84
7. 가설검증 결과 요약 85
Ⅵ. 항만 재생지역 부산 북항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방향 모색 87
1. 항만 재생지역 북항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방향성 모색 88
2. 디자인 구성요소별 부산 북항의 지역 아이덴티티 디자인 적용 방향 91
Ⅶ. 결론 95
1. 연구 결론 95
2. 연구 한계성 및 향후 전망 97
참고문헌 98
부록 102
감사말씀 11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