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93년의 득량만의 해양학적 특성
- Abstract
- 득량만의 계절별 물리해양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7월부터 1993년 4월까지 약 1년간 대조기와 소조기때의 수온, 염분을 조사하였다. 또한 1992년 7월 2일부터 8월 6일까지 약 1개월간 수문리 입구와 득량도 사이의 양식장 관리 Barge선에 Aanderra RCM-7 유속계를 계류시켜 대조기와 소조기의 해수유동 상태도 알아 보았다.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계절적 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해저 지형과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다.
수온 분포의 특징은 득량도를 중심으로 수심이 얕은 서편은 저열량이 적어서 하계에는 고온, 동계에는 저온을 나타내었으며, 동편은 저열량이 커서 하계에는 저온, 동계에는 고온이었다.
염분 분포의 특징은 강수량에 의한 하천수 유입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득량도의 서편이 동편보다 저염으로 그리고 외해수의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서 만 입구쪽이 만 안쪽보다 고염상이었다. 또한 건조한 북풍계의 바람이 탁월한 동계는 하계보다 고염상이였기 때문에 득량도 남쪽에 동서 방향의 염분 및 수온 전서이 같은 장소에 나타났다. 9월의 경우 약 1주일간 지속적인 NNW풍과 NE충에 의한 Ekman 수송으로 인하여 저염수가 수문리와 고마리 연안쪽에서 만 입구쪽으로 치우쳐 분포하였으며, 또한 성충도 형성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조류는 동서보다 남북성분이 탁월하며, 만의 장축 방향의 1일 2회조의 왕복성 조류인 반일주조가 탁월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고 유속은 대조기에 약 60cm/sec로 나타났다.
- Author(s)
- 김상우
- Issued Date
- 1993
- Awarded Date
- 199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45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310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