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 교량의 형식별 보수보강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n Estimation of Repairing and Reinforcement Cost by the Bridge of Type 1 Facility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1종 시설물인 교량 중 강박스형교(STB), PSC 박스형교(PSCB), PSCI형교(PSCI)에 대하여 정밀안전진단보고서의 보수보강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교량의 유지관리기간 30년 동안의 보수보강비를 산정하였다. 교량 형식별 초기 건설단가는 2000년에 작성된 한국도로공사의 교량 형식별 초기 건설단가를 참고하였다.
조사된 보수보강비 및 초기 건설단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건설업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를 이용하였다. 건설업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는 보수보강비 및 초기건설단가를 비교시점의 순현가로 환산하였다.
순현가로 계산된 교량형식별 보수보강비를 통해 공용기간 30년 동안의 교량형식별 총보수보강비를 산출하였다. 산정된 교량의 총보수보강비를 유지관리기간별 교량의 보수보강비를 나타내는 노후도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교량의 보수보강비를 초기 건설단가와 비교하여 보수보강비가 초기 건설단가대비 얼마나 소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교량의 연간 유지관리비는 2001년~2011년 동안 한국도로공사의 집행실적을 참고하여 산출하였으며, 이 자료를 통해 교량의 유지관리비 대비 교량의 보수보강비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교량의 보수보강비는 교량의 생애주기비용(LCC) 및 경제성 분석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of STB ,PSCB and PSCI type of bridge for 30 years with the concept of LCC. The materials for analysis was based on the construction cost data of Korea expressway cooperation and GDP deflators from the websites of the Bank of Korea. The findings extracted from the thesis are as follows:
The total cost of repairing and reinforcement was found that that of STB was 149, 310KRW/㎡, PSCB 162,410KRW/㎡ and PSCI 199,810KRW/㎡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case study. It was also found the ratio of repairing and reinforcement to the cost of construction was about 4.4% in the type of STB, 4.8% in PSCB and 9.5% in PSCI. The correction factor of degree of deterioration in STB type bridge was found was rapidly increasing relatively compared with that of road, but gradually increasing in the PSCB and PSCI type bridges. The maintenance cost of bridge per year was about 9,155KRW/m2 and the cost of repairing and reinforcement was about 4,334KRW/m2.. The ratio of cost of repairing and reinforcement compared with that of maintenance was found about 47%. From the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intain the bridges. At last, some further researches and restrictions have been commented.
Key words: Estimation, Repairing, Reinforcement, Degree of Deterioration, GDP Deflators
- Author(s)
- 이연산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58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962
- Alternative Author(s)
- Lee, Yeon Sa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이영대
-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ⅰ
그림 목차 ⅳ
Abstract ⅴ
국문요약 ⅶ
제1장 서 론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1.3 연구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관련 문헌연구
2.1 교량의 분류 5
2.1.1 교량형식에 따른 분류 5
2.1.2 교량종별에 따른 분류 7
2.1.3 교량의 구성 8
2.2 교량의 유지관리체계 10
2.2.1 교량관리 업무흐름도 10
2.2.2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11
2.2.3 1종 교량의 정밀안전진단 12
2.2.4 정밀안전진단보고서 14
2.3 관련 문헌 연구 17
2.3.1 유지관리비 추정 17
2.3.2 국내도로의 유지관리비 20
제3장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3.1 연구자료 수집
3.1.1 사례교량 자료수집 22
3.1.2 교량 유지관리비 분류 26
3.1.3 교량 유지관리비 분석변수 26
3.1.4 사례교량의 비용자료 34
3.2 분석방법
3.2.1 LCC 분석이론 40
3.2.2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 44
3.2.3 초기 건설단가 48
3.2.4 교량의 보수보강비 분석과정 51
제4장 분석 결과 및 고찰
4.1 보수보강비 분석결과
4.1.1 보수보강비 분석결과 52
4.1.2 공용연도별 보수보강비 60
4.1.3 보수보강비 추정 66
4.1.4 교량의 노후도에 따른 보정계수 69
4.2 고찰 71
4.2.1 공용연도별 보수보강비에 대한 고찰 71
4.2.2 초기 건설단가와 보수보강비 비교 71
4.2.3 교량 노후도에 따른 보정계수 고찰 73
4.2.4 교량의 유지관리비에 대한 고찰 74
제5장 결 론 78
참고문헌 8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