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유전과 진화’ 영역과 STEAM 영역 교과목의 연계성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n the Connection of the Part of ‘Genetics and Evolu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i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nd Subjects of STEAM Education
- Abstract
-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설정에도 다양한 학문과 지식이 필요해졌다. 또한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계속되어 관련 분야 인재가 부족해지자 여러 선진국에서 융합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국가로 미국(STEM 교육), 영국(과학과 혁신에 대한 틀 2004-2014), 핀란드(LUMA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이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STEAM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STEAM 교육은 STEM 교육에 예술(Arts)을 추가한 것으로 STEM 교육이 미래 인재에 중요한 창의성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융합인재교육 - STEM 혹은 STEAM을 활용한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이 학생들의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간 부족, 전문성 부족, 입시 제도 문제, 획일적 국가 교육과정 등의 문제로 실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중학교 과학과의 유전과 진화 단원과 STEAM영역 교과목의 연계성을 분석해보았다.
과학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의 변화 분석 후 Drake의 교육과정 통합 방법 중 간학문적 통합 방법을 활용해 유전과 진화 단원과 STEAM 영역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는 과거 바른 자연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즉 현대인의 보편적 지식으로서의 교양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성취 기준은 과거 이해하기와 같은 단순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2007 교육과정 이후에서는 다른 분야와의 통합을 유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전과 진화 단원의 성취 기준을 STEAM영역 교과목과 연계성을 분석해본 결과 ㈎는 기술․가정, 정보, 미술, 체육, 역사, 국어, 수학 등의 교과와 연관이 있었다. 또한 ㈏와 ㈐는 기술․가정과 국어 교과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는 환경과 녹색성장, 체육, 사회, 국어 교과와 연관되어 있었다. 특히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 사회 교과의 지리 영역과 많이 연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성취 기준 ㈒는 정보, 환경과 녹색 성장, 음악, 국어 교과와 연관되어 있으며 성취 기준 ㈏와 ㈐가 다른 성취 기준에 비해 연관되는 교과목의 수가 적었는데 이 성취 기준에서 제시하는 ‘증거를 든다, 방법을 알고 현상을 이해한다’등은 과학 교과 만에 가질 수 있는 특징이 그 원인이 된 것이라 생각한다.
탐구활동의 분석 결과, ㈎의 경우 정보, 미술, 국어, 수학 교과와 연관이 있었고 ㈏의 경우, 기술․가정과 정보, 국어 교과와 연관이 있었다. ㈐의 경우 정보, 환경과 녹색 성장, 음악, 체육, 사회, 국어 교과목이 연관되어 있었다. 유전과 진화 영역은 STEAM의 각 분야에 속하는 교과에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교사가 현장에서 일일이 분석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앞으로도 과학 교과와 STEAM 영역 교과와의 연계성 분석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등의 변화도 연구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Author(s)
- 이경실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58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96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 Advisor
- 김군도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배경 1
2. 연구 내용 4
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1. 통합 교육 과정의 유형 6
2. STEM 교육과 STEAM 교육 9
3. 해외의 융합인재 교육 정책 12
4. 우리나라의 융합인재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14
Ⅲ. 연구 방법 18
1. 분석 대상 및 선정 이유 18
가. 분석 대상 18
나. 대상 선정 이유 18
2. 분석 방법 19
Ⅳ. 연구 결과 21
1.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 및 성취 기준 변화 21
2. 학습 내용 성취 기준에 의한 분석 25
가. ‘부모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멘델의 유전법칙을 중심으로 이해한다.’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25
나. ‘유전을 연구하는 방법을 알고, 사람의 유전 현상을 이해한다.’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30
다. ‘생물의 진화 증거를 들 수 있다.’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32
라. ‘생물의 다양성을 진화와 관련하여 이해한다.’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34
마. ‘분류의 목적과 기준을 생물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이해한다.’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39
3. 탐구 활동에 의한 분석 41
가. ‘가계도 자료 해석하기’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41
나. ‘최신에 연구된 진화 증거 조사하기’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43
다. ‘분류 기준에 따라 계 수준에서 생물 분류하기’와 STEAM 영역 교과목의 분석 45
Ⅴ. 결론 및 제언 48
1. 결론 48
2. 제언 51
Ⅵ. 참고문헌 53
Ⅶ. 요약 58
Ⅷ. 감사의 말씀 6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