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iet of long-beaked common dolphin (Delphinus capensis) in the East Sea, Kore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동해에 서식하는 긴부리참돌고래의 식성
Abstract
긴부리참돌고래는 우리나라 동해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돌고래이다. 자원량은 35000마리로 추정되며 연간 약 220마리가 혼획 되고 있다. 비교적 연안 가까이에 서식하며 표층성 소형 어류와 두족류가 주 먹이로 보고 되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긴부리참돌고래의 식성을 위 내용물 분석과 지방산 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2년 2월부터 9월까지 동해에서 혼획 된 30개체들을 분석하였다. 위 내용물 분석 시 형체를 알아볼 수 있는 생물은 종 수준에서 분류하였으며, 소화가 진행되어 식별 가능한 먹이가 없는 경우에는 화학적 분해가 미미한 어류의 이석과 오징어의 부리를 이용하여 종 동정을 시도하였다. 지방산 분석의 경우 등지느러미 아래 부분의 내층 지방을 분석하여 먹이생물의 지방산 조성과 비교하였다. 위 내용물 분석 결과 반딧불오징어, Enoploteuthis chunii, 가 전체 먹이 수의 55.8%를 차지하였고, 73.3%의 빈도로 발견되었다. 그 다음으로 살오징어와 청어가 중요한 먹이로 고려되었으며, 중층성 어류인 도루묵과 샛돔 등은 소량 발견되어 비주류 먹이로 분류되었다. 성별간 식성차이는 개체 별로 크지 않았으나, 성 성숙도에 따른 먹이 조성의 차이는 현저했다. 미성숙한 그룹이 다양한 먹이를 균등하게 섭이하는 반면, 성숙한 그룹에서는 두족류를 집중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 결과, 미성숙한 그룹에서 소형 중층어류인 도루묵에 많은 팔미토레산과 올레산이 많은 양을 차지했고, 반대로 연령이 많아질수록 살오징어가 많이 함유하고 있는 도코사헥사엔산이 증가하였다.
Author(s)
안소언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2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03
Alternative Author(s)
Soeon Ah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김수암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5
1. Sample collection 5
2. Stomach content analysis 7
3. Data analysis on prey importance 10
4. Fatty acid analysis 12
5. Age determination 13
III. Results 15
1. Stomach content analysis 15
A. Composition of preyies 15
B. Intra-species variation in stomach component
composition 21
C.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prey size 23
2. Fatty acid analysis 26
A. Fatty acid composition of inner blubber 26
B. Intra-specific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26
IV. Discussion 29
V. References 37
VI. Appendix 4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