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FDI를 통한 제조업의 해외공급사슬 구축 패턴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Supply Chain through FDI[Focused on the Korean Affiliated Company Investment on Shandong Province of China]
Abstract
오늘날 세계 경제는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WTO 체제의 등장과 자유무역협정(FTA)등을 통한 블록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국적기업들은 경영의 글로벌화로 대응하고 있으며 글로벌 차원의 생산기지 이전, 글로벌 아웃소싱, 글로벌 판매 전략을 통하여 공급사슬관리를 정착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한중 수교이후 한국 제조업은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 지리적 인접성, 거대한 내수시장을 목표로 대 중국 투자열풍을 일으켰으며 어언간 2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한국 제조업의 대 중국 해외직접투자에 있어 산동성은 가장 많은 한국기업이 밀집되어있는 지역으로 대 중국 한국해외직접투자의 축소판이라고 불린다.

이에 본 연구는 자회사 진출형태 한국 제조업의 산동성내 해외직접투자를 중심으로 한국 제조업의 해외 공급사슬 구축 패턴에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해외직접투자로 인한 생산입지가 바뀌면서 형성된 한국 제조업의 해외 공급사슬을 유형화하였고 생산입지에 따른 투자업종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한국 중심의 역내 제조업의 연계성은 한국 제조업의 산동성내 해외직접투자로 인해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한국 제조업 해외공급사슬 형성과정에는 지리적 인접성, 항만과의 인접성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이지화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24
Alternative Author(s)
Li, Di Hua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이정윤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차 iii
그림 목차 iv
ABSTRACT vi

제Ⅰ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제3절 논문의 구성 6

제Ⅱ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8
제1절 해외직접투자 관련 선행연구 8
2.1.1 해외직접투자의 정의 및 유형 8
2.1.2 해외직접투자 관련 이론적 고찰 9
2.1.3 해외직접투자요인 관련 선행연구 18
2.1.4 해외직접투자입지 관련 선행연구 20
제2절 공급사슬 관련 선행연구 23

제Ⅲ장 산동성 해외직접투자 현황 및 특성 30
제1절 지역별 특성 30
제2절 업종별 특성 36
제3절 투자 국가별 특성 39

제Ⅳ장 한국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및 특성 42
제1절 투자자 소재지별 특성 43
제2절 투자 업종별 특성 46
제3절 투자자 규모별 특성 48
제4절 투자 목적별 특성 50

제Ⅴ장 한국 제조업의 산동성 내 해외 공급사슬 구축 패턴 분석 52
제1절 표본의 선택 및 특성 52
제2절 자회사와 모기업간 연계성 54
5.2.1 A유형 수도권 지역 54
5.2.2 B유형 영남권 지역 55
5.2.3 C유형 기타 지역 56
제3절 공급사슬구축 패턴 변화 58
5.3.1 한국 중심의 역내 제조업 58
5.3.2 FDI로 인한 중국 중심의 역내 제조업 59
제4절 투자 업종별 공간의 차이 62

제Ⅵ장 결론 및 시사점 64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64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6

* 참고문헌 67
* 부록 7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