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GUI 기반의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가시화 S/W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3-D fracture visualization software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
Abstract
요 약
암반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확고한 이해는 지반구조물의 효과적인 설계 및 유지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암반의 강도, 변형 및 수리지질학적 특성이 주로 암반에 존재하는 균열/미시구조의 연결구조 특성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암반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균열/미시구조 분포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암반의 삼차원적 구현 및 가시화에 기반한 지질공학적 해석은 드문 실정이다. 이 연구는 암반의 균열/미시구조 및 균열/미시구조의 연결구조를 삼차원적으로 구현하고 가시화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판형으로 가정한 균열/미시구조의 비선형 방정식을 유도하고 균열/미시구조 교차선과 등가파이프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는 대수학적 알고리즘이 제시되었으며, 연산과정을 수행하는 전산모듈 DISK3D 및 FNTWK3D가 작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DISK3D, FNTWK3D, BOUNDARY 및 BDM 등의 S/W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S/W는 가시화된 이미지의 효과적인 삼차원적 표현을 위하여 C++언어 기반의 MFC 및 OpenGL 라이브러리를 응용하여 Microsoft Visual Studio 상에서 제작되었다. 균열/미시구조의 위치 좌표, 방향성, 크기 등으로 구성된 입력 파일에 의하여 삼차원 구조기하형태가 S/W에서 상에서 구현된다. S/W의 DISK3D, FNTWK3D, BOUNDARY, BDM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현장의 균열/미시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균열/미시구조 연결구조의 삼차원적 구현 및 가시화 기법은 불연속체 기반의 암반강도 및 변형성에 관한 연구 또는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개발된 S/W는 사용자 중심적 GUI 기반의 암반구조 해석 및 공학적 적용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uthor(s)
노영환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33
Alternative Author(s)
Young-Hwan, Noh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에너지자원공학과
Advisor
엄정기
Table Of Contents
목 차
List of Figures ⅲ
List of Tables ⅴ
Abstract ⅵ
1. 서 론 1
2. 암반의 균열/미시구조 모델 3
2.1 균열/미시구조 조사 3
2.1.1 지표 조사 3
2.1.2 시추 조사 6
2.2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모델 8
2.2.1 균열/미시구조 간격 분석 9
2.2.2 균열/미시구조 연장성 분석 10
2.2.3 균열/미시구조 연장성 분석 11
2.2.4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모델 12
3.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가시화 14
3.1 원판형 균열/미시구조 좌표 14
3.2 균열/미시구조 교차 연결구조18
3.2.1 비선형 연립방정식의 일반해 20
3.2.2 비선형 연립방정식의 특수해 25
3.2.3 균열/미시구조 교차 연결구조 28
4. 균열/미시구조 가시화 S/W 33
4.1 S/W 개발 환경 및 도구 33
4.1.1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33
4.1.2 OpenGL(Open Graphic Library) 35
4.2 균열/미시구조 가시화 S/W 개발 36
5. 사례연구 41
5.1 현장 조사 41
5.1.1 조사선 조사 41
5.1.2 시추공 영상 촬영 43
5.2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모델 52
5.2.1 방향성 분석 52
5.2.2 간격 분석 54
5.2.3 연장성 분석 57
5.2.4 삼차원 균열/미시구조 모델 60
5.3 균열/미시구조 가시화 S/W의 현장적용 61
6. 결 론 66
참고문헌 67
요약 70
사사 7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에너지자원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