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Implementation of an Open API for Time-Series Raster Database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현재까지 GIS의 각 계층별 구성요소들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왔다. GIS를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실세계의 개별적인 특징을 반영하는 벡터와 연속적인 특징을 반영하는 래스터로 나뉠 수 있는데 이는 취득 및 활용 과정에 따라서 공공 서비스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누적은 발생하지만 쉽게 소멸되지 않는 비휘발성을 내포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의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최근 웹 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공 정보의 개방 및 웹 인프라의 발달은 GIS에 대해 서비스로서의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 외부 사용자가 접근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던 공공 정보를 웹상에서 개방하여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지원하는 웹서비스는 GIS에 있어서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이다. 이는 다양한 웹서비스 및 클라이언트 기술과 함께 매쉬업 되는 방식으로 웹 GIS를 구성하는데 기존 기술들이 내포하는 한계점이 있는 만큼 각 구성요소의 계층별로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다. 특히, 웹서비스의 경우, 기반 기술로 활용되던 표준 기술들이 GIS의 특징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OGC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WS-* 기반의 WMS, WFS, WPS와 같은 SOAP 방식 웹서비스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포맷으로 XML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특징을 가지는 GIS 데이터에 완전히 호환될 수 없으며 클라이언트의 경우, 기존에 활발히 사용되는 2차원 지도의 표현력의 한계와 더불어 3차원 지도의 추가적인 플러그인에 의한 다양한 플랫폼의 지원 한계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누적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시공간 관리를 위한 방법론 제시와 함께 기존의 웹 기반 GIS의 계층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RESTful 방식의 웹서비스와 3차원 클라이언트 구현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웹서비스의 경우, XML 포맷과 함께 JSON, 이미지 파일을 함께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매쉬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클라이언트의 경우, 3차원 표현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글 어스와 함께 크로스 브라우징의 실현을 위한 WebGL을 차용함으로써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시각화를 수행한다.
Author(s)
김형우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6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3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dvisor
이양원
Table Of Contents
LIST OF FIGURES ii
LIST OF TABLES iii
ABSTRACT iv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Objective and Composition 6
2. Related Technology and Studies 9
2.1. Database 9
2.2. Service Provider 12
2.3. Clients 16
3. Environments 18
3.1. Methods for Spatio-temporal Query 20
3.2. Methods for Data Compatibility 25
3.3. Methods for Clients 28
4. Implementation 30
4.1. System Structure 30
4.2. Database 31
4.3. Open API Web Service 34
4.4. Web Client 46
4.5. Availability Test for Web Client 51
4.6. Mashup Example 53
5. Conclusion 55
6. References 5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