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K-Pop 아이돌 패션에 나타난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Kitsch Fashion in K-Pop Idol Fashion
Abstract
키치패션은 195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으로, 기존의 가치관과 위계질서에 대한 반발을 새롭고 충격적인 표현방식으로 패션에 담아낸다. 이렇듯 반발심을 내포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키치패션이 현대에 들어오면서는 오히려 신선한 감각으로 받아들여지며 현대패션에 끊임없는 호기심과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키치패션은 K-Pop 아이돌의 무대의상에 나타나며 독특하고 신선한 스타일링으로 전 세계 대중들을 사로잡고 있다.
본 연구자는 K-Pop 아이돌의 의상에 나타나는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에 과거의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가치를 인정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키치와 키치에서 나타나는 조형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K-Pop 아이돌의 패션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키치는 싸구려 기념품, 거리의 허접한 쓰레기를 끌어 모으다, 건방지고 우쭐대는 것 등 다양한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부정적인 느낌을 준다. 이러한 키치가 발생하는데 있어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두 가지 배경 모두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먼저 19세기 산업 혁명으로 등장한 부르주아 계층들이 공허한 시간을 채우기 위하여 감상이 용이한 예술을 찾게 되었다는 것과, 기계에 자리를 빼앗긴 근로자들이 창조의 자아의 고달픔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비를 시작하였고, 그 소비의 대상이 키치였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발생배경을 통해 키치의 감상을 위해서는 훈련, 삶에 대한 통찰, 철학적, 사회적 탐구와 같은 어떠한 긴장도 필요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치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요소를 형태, 소재, 색상, 장식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형태는 크기가 왜곡되거나 불균형하며 때로는 에로틱한 형태로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재는 값이 저렴한 재료로 대체되거나 복제, 모방된 소재를 사용한다는 것, 색상에선 화려하고 저속적이면서도 자극적인 원색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식은 이국적인 삶과 자연의 전원적인 삶에 대한 향수를 남김없이 매꾸거나 과도한 장식을 하는 방법으로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Pop과 K-Pop 아이돌에 관한 고찰을 통해 1990년대 말부터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韓流)가 아시아 각국에서 열풍을 일으켰고, 드라마로 촉발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은 2010년대에 이르러 대중음악의 영역까지 이어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의 아이돌 스타가 해외에서 인기를 얻게 된 이후에 K-pop Idol이라는 명칭은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 대한민국 대중가요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널리 자리 잡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축척성, 저항성, 부적합성, 유희성, 향수성, 선정성이라는 조형적 특성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K-Pop 아이돌 패션에 나타나는 키치패션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축척성은 단추, 스터드와 같은 부자재를 밀집되게 부착시키는 수집적 과장과 어울리지 않는 문양이 프린트된 의상들을 함께 스타일링 하는 형태적 과장으로 나타났다. 저항성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종이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의상을 만들어 착용하는 모조성과 전선, 쇠사슬 등과 함께 다소 암울하고 공격적인 느낌으로 나타나는 저항적 풍자의 형태로 나타났다. 부적합성은 유연하지 않은 소재이거나, 의복의 재료로는 생소한 소재로 만들어 착용, 혹은 의복의 일부를 찢어 심미적, 기능적, 실용적인 측면에서 부적합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유희성은 알록달록하고 아기자기한 도안과 장난감을 액세서리로 착용함으로써 유희적 형태를 보여주었다. 향수성은 어릴 적 착용하던 교복이나, 복고 댄스풍의 의상을 착용하여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가 하면, 타국의 전통의상이나 토속적인 무늬와 액세서리를 착용함으로써 자연과 이국적 삶에 대한 동경을 나타냈다. 선정성은 의상의 일부를 매쉬나 시스루와 같은 소재로 매꾸어 몸의 일부를 은근히 드러내거나 다리나 상체와 같은 신체의 일부를 노골적으로 노출시키는 형태가 있었으며, 바디의 라인과 구조를 강조하여 인체의 미를 강조하는 형태가 있었다.
이상으로 K-Pop 아이돌 패션에 나타나는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징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자신만의 개성 있는 스타일 연출을 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에게 아이돌 패션은 하나의 패션스타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를 토대로 과거의 반항적이고 값싼 이미지에서 벗어나, 아이돌과 대중들의 패션에서 긍정적이고 더욱 다양한 스타일의 키치패션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Author(s)
송민경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6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47
Alternative Author(s)
Min Kyung So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패션디자인학과
Advisor
조문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4
1. 키치의 일반적 고찰 4
1) 키치예술에 관한 고찰 4
2) 키치패션에 관한 고찰 16
3)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성 21
2. K-Pop 아이돌의 일반적 고찰 29
1) K-Pop의 개념 29
2) K-Pop 아이돌의 개념과 현황 36

Ⅲ. K-Pop 아이돌 패션에 나타난 키치패션 40
1. K-Pop 아이돌 패션 분석 40
2. K-Pop 아이돌 패션에 나타난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성 42
1) 과장성 42
2) 저항성 45
3) 부적합성 47
4) 유희성 50
5) 향수성 53
6) 선정성 56

Ⅳ. 결론 6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패션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