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Microparticle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id/Polyethylene glycol Complex Using Supercritical Fluids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한 지질의 미립자 제조

윤준호

부 경 대 학 교 대 학 원 식 품 공 학 과

요 약


SC-CO2를 이용하여 고등어 육에서 지질을 제거하였고 지질이 제거된 추잔물로부터 레시틴을 분리, 획득하였으며, 밀배아로부터 오일을 추출하여 기능성 물질로 이용하였다. 레시틴과 밀배아 오일과 식용, 의약 분야에 활용되는 고분자 물질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 PEG)을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 복합체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미립자의 형태 및 크기, 분포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Particle size analyzer (PSA)를 이용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레시틴 미립자에서 주요 인지질인 phosphatidylcholine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으며, 밀배아 오일 복합체 미립자에서 GC-FID를 이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였으며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물질을 분석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였다.
레시틴 미립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노즐크기 250 um에서 0.873–1.164 um, 300 um에서 1.180-2.080 um 였다. 압력과 온도가 높아질수록 이산화탄소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며, 레시틴의 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밀배아 오일 미립자의 평균 입자크기는 PEG:오일 혼합비 10:1일 때 0.632-1.350 um, 5:1일 때 1.177-3.767 um였으며 압력이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점도가 높은 레시틴으로 제조한 복합체 미립자보다 밀배아 오일 미립자의 입자 평균 크기가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인지질 함량,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항산화능 또한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uthor(s)
Yun, Jun Ho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7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52
Alternative Author(s)
윤준호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Chun, Byung Soo
Table Of Contents
Contents

Abstract Ⅲ

Introduction 1

Material and Method
1. Material 7
2. Sample preparation 7
3. Method 8
3.1.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8
3.1.1. Mackerel oil extract and lecithin isolate 8
3.1.2. Wheat germ oil extracts 9
3.2. Particle formation 9
3.2.1. Particle formation using PGSS process 9
3.2.2. Analysis of particl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10
3.2.3. Analysis of particle size by Particle size analyzer 13
3.3. Particle characterization 14
3.3.1. Phospholipid of lecithin particles measurement by HPLC analysis 14
3.3.2. Characterization of wheat germ oil particle 15
3.3.2.1.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15
3.3.2.2.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15
3.3.2.3. Analysis of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18

Result and Discussion
1. Analysis of particle by SEM 21
2. Analysis of particle size by PSA 26
3. Characterization of lecithin particle 34
3.1. Lecithin measurement 34
4. Characterization of wheat germ oil particle 37
4.1. Fatty acid composition 37
4.2. TPC measurement 40
4.3. DPPH radical-scavenging effect 40

Conclusion 43

Acknowledgement 44

Reference 4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