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biology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Goe-san Lake, Korea
- Abstract
- 괴산호 베스의 개체군 생태학적 연구
Mingming Zhang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요약
생태계에서 어류 개체군과 침입종인 큰입베스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어류 다양성과 큰입베스의 개체군 생물학을 연구하였다. 어류의 다양성은 담수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큰입베스는 한국으로 수입되었고 한국에 살기 적합했고 정착하였다. 개체군 생태학은 그들이 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였는지, 그들이 이 지역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인지, 또한 지역종과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장: 한국 괴산호의 어류의 구성과 다양성
(1) 괴산호에서 채집된 총 2744마리의 어류는 10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2402마리는 잉어과, 157마리는 꺽지과, 그리고 144마리는 나머지 8개의 과의 어종이다. 이는 어류 종의 다양성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2) 주 우점종의 구성은 3년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계절 간의 어류 우점종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곳은 강물 흐름의 큰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3) 가장 높은 유사성이 나타난 곳은 봄과 여름이고, 또한 가을과 다른 계절 간에도 높은 유사성이 나타내었다. 지역적으로는 상류와 중류간에서 가장 높은 유사성이 나타나였고, 상류와 하류간에는 낮은 유사성이 나타내었다
(4) 각 계절간의 다양성 지수는 여름에는 종풍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였고, 가을에는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다양도지수는 가을에 가장 높게 나타나였고, 여름에는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균등도는 가을에 높게 나타나였고, 여름에 낮게 나타내었다. 다양도 지수의 변동의 범위는 여름에 크게 나타내였고, 가을에 낮게 나타나었다. 구간 별로 보면 상류에서는 풍부도가 높고, 중류에서는 낮다. 다양도 지수는 하류에서 높게 나타내었고, 중류에서 낮게 나타내였다. 균등도 지수는 중류에서 높게 나타내었고, 상류에서 낮게 나타내었다. 다양도 지수의 변동 범위는 하루에서 가장 크고, 중류에서 가장 작다.
(5) 어류의 풍부도와 균등도, 상대적인 풍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풍부도와 균등도는 수온 및 강우량과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풍부도는 여름에 가장 좋다.
제 2장 : 대한민국 괴산호에서의 큰입베스의 개체군 생물학
(1) 연령과 성장, 그리고 자연 사망: 큰입 베스의 연령 조성과 성장 매개 변수는 대한민국 괴산호에서 2010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채집한 큰입베스의 이석을 사용하였으며 측정하였다. 수컷과 암컷은 각 47.9와 52.1퍼센트로 나타내였다. 수컷의 전장 범위는 98.8 mm에서 347.2 mm이고 암컷의 전장 범위는 104.4 mm부터 413.8 mm이다. 전체의 전장과 전중의 상관 관계는 TW = 0.000007L3.099이다. 이석(sagittae - 화살무늬)의 고리수는 계수하였고, 이석의 반지름과 고리의 반지름을 측정하였다. 매달 변화하는 증가한계률은 두 성별에서 모두 1년에 하나의 고리가 생기는 것과 그 고리가 4월에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큰입베스의 연령범위는 0에서 8세까지로 조사되었다. 반 버틀란피 성장식을 사용하여 나타낸 역산체장 식은 Lt = 448.76(1-e-0.234(t+0.527))이다. 성장성과는 4.67이다. 큰입베스의 생리학적인 생활기간은 12.3년으로 추정되었다. 자연사망률은 사용된 방법에 따라 조금 다양하게 추정되었다. 괴산호의 큰입베스 자연사망률은 0.32 yr-1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다.
(2) 생식: 기준에 따라 난소와 정소를 단계에 따라 5개의 기로 나누었다. 수컷에 대한 암컷의 비율은 전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암컷은 약간 크고, 조금 더 많은 수가 채집되었다. 평균크기와 연령은 암컷(전장 255 mm, 2.03년)이 수컷(전장 227 mm, 2.44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큰입베스의 산란 시기는 4월에서 6월까지이고, 5월에 생식소 숙도지수와 수컷과 암컷의 생식소 단계가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성숙한 암컷은 산란기에만 채집되었다. 평균 포란수는 27656 ± 1424이다. 포란수는 전장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이는 평균 포란수 = 202.4 전장 - 38188로 나타낼 수 있었다. 높은 포란수는 큰입베스가 유동적인 산란전략과 괴산호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3) 섭식 생태: 227마리의 큰입베스 위 내용물의 범위는 84 mm에서 412 mm이다. 위가 비어있는 큰입베스의 비율은 개체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늘어났다. 부유생물, 벌레, 갑각류, 어류 이 4가지의 먹이 구성의 용적률을 구하였다. 큰입베스의 주된 먹이는 크기와 상관없이 검정망둑과, 갈문망둑 이 2개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 베스의 경우에는 어린 갈문망둑을 선택적으로 섭이한다. 이들이 자라게 되면, 베스는 적지만 큰 검정망둑도 같이 섭이 하였다. 모든 크기의 큰입베스는 봄과 가을에 이 망둑어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큰입베스는 전장 30~40 mm 때 부유생물 섭이자에서 어류섭이자로 바꾸는다.
- Author(s)
- Mingming Zhang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6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7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Chul-Woong OH
-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iv
List of Figures v
Abstract vii
General introduction 1
Chapter I.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fish in Goe-san Lake, Korea 5
1.Introduction 5
2.Materials and methods 7
2.1.Sampling time and sites 7
2.2.Procedure of sampling 9
2.3.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10
3.Results 11
3.1.Environmental factors 11
3.2.Faunal composition 14
3.3.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and biomass 19
3.4.Dominant species 21
3.5.Species’ dominance analysis 25
3.6.Fish diversity 29
3.7.Relationship between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ex 33
3.8.Fish similarity 33
4.Discussion 36
Chapter II. Age, growth, reproduction and feeding ecology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Goe-san Lake, Korea 43
1.Introduction 43
2.Materials and methods 47
2.1.Field sampling 47
2.2.Relationship between length and weight 47
2.3.Comparison of calcified structures 48
2.4.Validation of age and the annuli formation periodicity 52
2.5.Growth back-calculation 53
2.6.Reproduction 54
2.6.1 Sex ratio and gonad stages 54
2.6.2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58
2.6.3. Fecund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body size 58
2.6.4. Egg size 59
2.6.5. Length at sexual maturity 59
2.7. Feeding ecology 60
2.7.1.The sampling procedures of stomach content 60
2.7.2.The criterion of stomach fullness 60
2.7.3.Diet composition 61
3.Results 62
3.1.Age, growth and mortality 62
3.1.1.Compositions of length and weight 62
3.1.2.Length-weight relationship 65
3.1.3.Comparison of calcified structures and decision 67
3.1.4.Ring formation 67
3.1.5.Validation of age by sagittae 71
3.1.6.Period of annual formation 72
3.1.7.Age composition 74
3.1.8.Back-calculation of total length 74
3.1.9.Growth equation 78
3.1.10.Growth rate and growth acceleration 78
3.1.11.Longevity and natural mortality 82
3.2.Reproduction 82
3.2.1.Sex ratio 82
3.2.2.Spawning period 85
3.2.3.Length and age at maturity 87
3.2.4.Fecundity 89
3.3.Feeding ecology 91
3.3.1.Stomach fullness composition 91
3.3.2.Diet composition 93
4.Discussion 98
General conclusion 110
Acknowledgements 114
References 116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