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Identifying Reasons for Implement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Ethiopian Infrastructure Project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에티오피아 사회기반 시설의 민자사업 도입 이유
Abstract
사회기반 시설 투자는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위한 필수요소다. 따라서 사회기반 시설 개발과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 사이의 연관성은 잘 받아들여져 있다. 전통적으로 정부는 사회기반시설과 공공사업에 투자한다. 그러나 공적 적자 이유로 공채 대 국내총생산(GDP) 비율이 높아졌고, 사회기반 시설에 배정된 공적자금 수준도 낮아졌다. 이 상태은 공공부문이 새롭고 적절한 자금원을 찾도록 한다. 민자사업 (PPP)은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적절한 접근방식 중 하나가 된다. 민자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많은 정부가 사회기반 시설 자산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에티오피아는 PPP 프로젝트를 도입하는 것이 늦었다. 2018년 에티오피아 정부는 민간 참여를 촉진하는 새로운 민자사업(PPP) 선언을 발표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5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1) 에티오피아의 PPP의 현재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2) 에티오피아 사회기반 시설 프로젝트에서 응답자가 인식하는 PPP 채택 이유를 평가하기 위해, (3) PPP 채택 이유에 대한 응답자 간의 인식 차이 파악 (4) 유사한 연구를 수행한 다른 국가와 결과를 비교 검토 (5) PPP 구현 이유의 적절한 요인 그룹 결정.
문헌 검토 후, PPP를 채태한 이유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에티오피아 사회기반 시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응답자들의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5점 리커트 척도로 설계되었다. 설문지가 대상 응답자에게 전송되기 전에, 설문지의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범 조사를 실시하였다. 적합성을 확인한 후75개 설문지를 하드카피로 배포해 2020년 2월 17일부터 3월 30일까지 수집했다. 마침내 59명의 검증된 설문지가 돌아왔다.
평균 점수 (Mean score), 독립표본 t 검정 (Independent t-test), 일원 분산 분석 (One way ANOVA test) 및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Microsoft Excel 및 SPSS) 도움을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전체 순위의 평균 점수를 사용하여, 공공 부문 예산 제약의 문제를 줄이고, 효과적인 자원 활용, 위험 분담 허용, 자본 투자에서 공금 보유를 낮추고, 혁신을 촉진하는 것이 5가지 이유였다. 독립표본 t 검정 (Independent t-test) 결과에 따르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응답자의 평균 점수에는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없다. 한편, 일원 분산 분석 (One way ANOVA test)의 통계적 결과는 서로 다른 유형의 기반구조와 근무 경험이 응답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7개의 성분이 규명되었다. 그러한 요소들은 효과적인 경제 관리, 고급 서비스 및 혁신, 더 나은 솔루션 용량, 공공 부문 보좌, 민간에 대한 사업 장려금, 정치적 측면, 원가절감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의의는 PPP가 에티오피아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전달 접근방식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구원이 에티오피아 맥락에서 현재 PPP 상태에 대한 최신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에티오피아 사회기반 시설 프로젝트에서 PPP를 구현하는 이유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다.
Author(s)
GEBREMESKEL MILIETE NEGASH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7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3391
Affili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대학원 건설관리학과
Advisor
김수용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1.1 Research background 1
1.2 Problem statement 2
1.3 Research objectives 4
1.4 Scope of research 5
1.5 Limitations of research 5
1.6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6
1.7 Thesis structure 6
CHAPTER 2 LITERATURE REVIEW 9
2.1 Introduction 9
2.2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9
2.3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Ethiopia 11
2.4 Barriers for implement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14
2.5 Reasons for implement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16
CHAPTER 3 METHODOLOGY 19
3.1 Introduction 19
3.2 Conceptual research framework 19
3.3 Survey population 21
3.4 Questionnaire survey 21
3.4.1 Questionnaire design 23
3.4.2 Questionnaire distribution 23
3.5 Analysis tools 24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S 32
4.1 Introduction 32
4.2 Results of analysis 33
4.2.1 Respondents information 33
4.2.2 Ranking of reasons for implementing PPP 36
4.2.3 Perception of respondents 40
4.2.4 Factor analysis 55
4.3 Cross-checking with previous studies respect to development status 67
CHAPTER 5 CONCLUSION 72
5.1 Conclusion 72
5.2 Limitation and further research 74
REFERENCES 75
APPENDIX 8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설관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