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Recovery of Useful Materials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using Sub- and Supercritical Fluid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아임계 및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다시마 유래 유용 물질 회수
Abstract
아임계 및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다시마 (Laminaria japonica) 유래 유용물질 회수


박정남

부 경 대 학 교 대 학 원 식 품 공 학 과

요 약

다시마는 수산자원 중 가장 풍부한 해조류 중 하나로, 최근 다시마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되면서 다시마의 생리활성 기능을 활용하고자 건강식품 개발 소재로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1차 가공제품 개발에 그치는 실정이며, 그 이용 가치 또한 높지 않다. 수산가공 산업에 있어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물질들의 이용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 측면으로 볼 때 많은 이익을 창출하게 해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로부터 fucoxanthin, fatty acids, phenolic compounds, 환원당 및 아미노산과 같은 유용 물질들을 회수하기 위하여 친환경 공정인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과 아임계수 가수분해법을 적용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은 온도 범위 30-50℃, 압력 15–25 MPa 범위에서 수행되었으며, CO2 유량은 23 g/min으로서 총 추출 시간인 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오일과 같은 비극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또한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이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 만으로 추출할 수 없는 극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의 최대 추출 수율은 25 MPa, 30℃에서 나타났으며, 압력이 높고 온도가 낮을수록 추출 수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추출된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fucoxanthin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고, 각 추출 조건에 따른 추출물 내 fucoxanthin 함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5 MPa, 40 oC의 압력, 온도 조건에서 에탄올을 보조용매를 이용한 조건에서 추출물 내 fucoxanthin의 수율이 가장 높음이 확인되었고, 아세톤, 에탄올 및 메탄올을 이용한 전통적 용매 추출 방법과 비교한 결과,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법의 추출 수율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fucoxanthin의 순도가 60.82%로 매우 낮았으나, 정제 과정을 통하여 79.86%로 순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여 다시마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SCO2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에 palmitic acid, arachidonic acid, EPA,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myristic acid가 다시마의 주요 지방산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임계수 가수분해는 수산가공 산업에서 활용도가 낮은 다시마를 고부가가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열풍 건조 및 SCO2로 처리된 된 다시마 원료를 1:50의 샘플:물 비율로 고정시킨 후, 실험 온도 조건 (200 oC-280 oC) 및 촉매제 (1% acetic acid)의 첨가 유무를 달리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먼저, 아임계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가수분해물 내 phenolic compounds 및 그 항산화능을 평가해본 결과, 에탄올과 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에탄올 농도에 따른 추출법에 비하여 모든 실험 조건에서 phenolic compounds의 추출 수율 및 항산화능이 현저히 높은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본 결과 240 oC를 phenolic compounds의 추출 수율 및 항산화능을 위한 최적 온도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아임계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가수분해물 내 환원당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환원당 및 아미노산 수율 모두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환원당 수율의 경우 열풍 건조된 다시마 원료가 SCO2로 처리된 다시마보다 높았고, 아미노산의 수율은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촉매로서 사용된 1% acetic acid 첨가의 효과는 환원당 수율의 경우 촉매제의 의하여 수율이 증가하였으나, 아미노산 수율은 반대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thor(s)
Jung-Nam Park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70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084
Alternative Author(s)
박정남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전병수
Table Of Contents
Contents

Abstract ⅶ
Introduction 1
Materials and Methods 6
1. Materials 6
2. Sample preparation 6
3. Methods 6
3.1. Proximate composition 6
3.2.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7
3.3.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8
3.4 Analysis of fucoxanthin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9
3.4.1. Organic solvent extraction 9
3.4.2. Solvent fractionation for analysis of fucoxanthin 10
3.4.3. Analysis of fucoxanthin content 10
3.4.4. Purification of fucoxanthin 11
3.5. Analysis of fatty acids 12
3.6.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12
3.6.1. Organic solvent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12
3.6.2.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assay 13
3.6.3. Total flavonoid compound content assay 14
3.7. Evaluation of antioxidant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extracts 14
3.7.1.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15
3.7.2.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15
3.8. Analysis of reducing sugars in hydrolysate 16
3.9. Analysis of amino acids in hydrolysate 17
Results and Discussion 18
1. Proximate composition of kelp (Laminaria japonica) 18
2. Effect of SCO2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extraction yield 18
2.1. Effect of temperature 19
2.2. Effect of pressure 20
3. Analysis of fucoxanthin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27
3.1. Fucoxanthin content by SCO2 at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27
3.2. Purification of fucoxanthin 28
3.3. The optimum method for extraction of fucoxanthin 28
4. Fatty acid composition 33
4.1. Saturated fatty acids (SFA) 33
4.2.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33
4.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34
5.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yield 40
6.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42
6.1.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kelp (Laminaria japonica) 42
6.1.1. Organic solvent extraction 42
6.1.2. Hydrolysates of SBCW 43
6.1.2.1. Effect of experiment temperature 43
6.1.2.2. Effect of lipid removal in sample and catalyst 44
6.1.2.3. Comparison of SBCW and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45
6.2. Evaluation of antioxidant of kelp (Laminaria japonica) extracts 49
6.2.1. Organic solvent extraction 49
6.2.2. Hydrolysates of SBCW 49
6.2.2.1. Effect of experiment temperature 49
6.2.2.2. Effect of lipid removal in sample and catalyst 50
6.2.2.3. Comparison of SBCW and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51
7. Analysis of reducing sugars in hydrolysate 55
8. Analysis of amino acids in hydrolysate 58
Conclusion 61
Acknowledgement 63
References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