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를 이용한 xylene 오염 부지 원위치 토양세정법 정화 실증시험
- Abstract
- Xylene으로 오염된 부지에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원위치 토양세정법의 설계인자 및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계면활성제 종류와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내 및 현장 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여 xylene의 정화효율을 평가하고, 최적의 xylene 제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배치실험과 칼럼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0.1 % 계면활성제 용액 농도에서 xylene의 제거효율이 57.9 %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 중 CMC가 가장 낮은 TW 80 계면활성제 용액을 선정하였다. 칼럼실험 결과, 0.1 % TW 80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2 pore volume 세정만으로 토양 내 xylene 농도는 토양오염 우려기준(45 mg/kg)이하인 9.7 mg/kg로 감소하였고, 1 pore volume만의 세정으로 약 80 %의 높은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현장 실증시험 지역은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유류 오염부지 내 5 m × 5 m × 3 m 규모(총 75 m3)의 xylene 오염지역으로, 사질과 미사질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평균 수리전도도가 9.1 × 10-4 cm/sec인 불균질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장 실증시험 부지를 대상으로 계면활성제 용액 세정 전후 지하수만으로 약 2,000 L 를 주입하였고, 실증시험 기간 동안 지하수에 0.1 ~ 0.2 % 비이온 계면활성제(TW 80) 혼합한 세정 용액 7,800 L를 주입하였다. 총 세 개의 주입정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하루 평균 9시간 연속 주입하였고, 세 개의 채수정으로 추출하였다. 일정한 시간(2시간 ~ 2시간 30분) 간격으로 채수정으로부터 채수한 용액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채수정에서 각각 다른 xylene 농도를 나타내었다. SHMW-1 채수정에서는 0.0 mg/kg에서 8.67 mg/kg으로 약간 증가하였고, SHMW-2, 3 채수정에서는 각각 57.28 mg/kg, 67.61 mg/kg에서 18.79 mg/kg, 17.44 mg/k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특히 SHMW-2, 3 채수정은 각각 초기 xylene 농도의 67 %, 74 % 까지 감소하였고, 현장 실증시험 부지 내 xylene은 1 pore volume의 세정에 의해서 총 332.5 g이 제거되었다. 주입정과 채수정 사이 거리가 2.5 m 떨어져 토양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채수액의 xylene 농도가 다르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지하수 흐름이 좋은 방향으로 정화가 잘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증시험 결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정법의 효율은 71 %로 나타났으며, 실험결과로부터 xylene으로 오염된 부지를 0.1 % TW 80 계면활성제 용액 1 pore volume으로 세정한다면 70 % 이상의 제거 효율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제어 : 비이온 계면활성제, TW 80, 원위치 토양세정법, xylene, 지하수정화
- Author(s)
- 엄재연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75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12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 Advisor
- 이민희
- Table Of Contents
- 그림목차......................................................................... ⅳ
표목차 ........................................................................... vi
요약문.............................................................................ⅶ
1. 서 론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배경 4
3.1 연구지역 개요 4
3.1.1 오염부지 현황 4
3.1.2 지형 및 지질 7
3.2 연구지역 오염물 및 계면활성제 특성 9
3.2.1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BTEX) 9
3.2.2 계면활성제의 정화 원리 11
3.3 추적자시험 이론 16
3.4 원위치 토양세정법 이론 20
4. 실험 방법 22
4.1 토양 특성 분석 22
4.1.1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22
4.2 계면활성제 용액의 xylene 제거 효율 실험 25
4.2.1 계면활성제 3종류에 대한 xylene 오염토양 제거 배치 실험 25
4.2.2 연속 칼럼 실험 31
4.3 현장 오염부지 추적자시험 33
4.4 현장 원위치 실증시험 36
5. 실험 결과 38
5.1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38
5.2 계면활성제 용액의 xylene 제거 효율 실험 결과 42
5.2.1 계면활성제 3종류에 대한 xylene 오염토양 제거 배치 실험 결과 42
5.2.2 연속 칼럼 실험 결과 44
5.3 현장 오염부지 추적자시험 결과 46
5.4 현장 원위치 실증시험 결과 50
6. 결 론 53
참고문헌 55
요약문(영문) 61
감사의 글 63
부 록 6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