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공공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기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rban Design Method reflecting Public Governance : Emphasis on the Cas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오늘날 도시디자인의 문제점은 하드웨어의 구축에만 열을 올리고 그 공간 안에 담는 콘텐츠웨어는 부실한 상태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시의 주체는 그 공간을 사용하는 인간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보행자보다는 자동차중심, 생태자연 경관보다는 토목중심, 소통과 안전보다는 실적 중심, 역사와 문화보다는 개발중심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오늘날 도시디자인은 하드웨어중심이 아니라 콘텐츠웨어 중심의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역사와 문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배려가 중심이 되는 도시디자인을 필요로 하며 도시디자인은 도시의 이미지, 도시색채, 도시 아이덴티티, 도시 마케팅과 같은 감성적 디자인이 필요한 시대이고, 통합과 소통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거버넌스 구축이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접근 프로세스도 도시를 지구단위로 접근하는 매크로 프로세스가 아니라 미시적 접근방식으로 가로에서 접근하여 도시의 거리 디자인을 통하여 도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도시디자인은 도시계획, 도시설계, 건축, 토목사이에 존재하는 유형적, 무형적인 맥락을 구현하는 디자인이 중요한 시대가 되었으며, 도시 디자인의 유형적, 무형적 맥락을 구현하는 도시디자인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주민, 사업시행 공무원, 전문가그룹이 삼각형을 이루는 공공거버넌스의 구축이 성공의 열쇠이다.
과거 도시공간의 기능인 '산업, 교통, 물류, 생산' 중심의 20세기 랜드마크적 건물들과 토목은 '문화, 관광, 서비스, 아이덴티티, 휴먼스케일, 커뮤니케이션’ 위주의 21세기형 기능으로 전환 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재생은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진 공공거버넌스를 통한 공동체 구성원간의 명확한 협의 하에 추진되어야 한다. 공공거버넌스는 시민, 공무원, 분야별 전문가의 공동의 비전을 목표로 하고 수평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소통과 상생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도시디자인기법을 도입해야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접근방법으로 도시디자인의 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첫째, 도시디자인과 공공거버넌스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공공거버넌스와 도시디자인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둘째, 도시디자인과 도시재생에 성공한 해외선진사례를 조사하여 도시디자인의 추구하는 방향을 분석하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시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위한 도시디자인 기법의 평가항목을 파악하고 추출하였다. 이는 실증연구에 앞서 관련 이론의 최근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이해를 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셋째, 공공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 측면에서 평가항목과 평가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영향도를 추출하여 도시디자인기법의 평가모형을 작성하는 곳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기법의 프로세스를 작성하는 곳에 기여하여 만족도 높은 도시디자인 기법을 수행하는 곳에 실증적인 기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기법과 관련된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기위해 공공거버넌스의 3대 요소인 시민과 관광객, 공무원, 관련전문가를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도시디자인의 방향을 크게 자연생태도시, 해양친수공간, 가로를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으로 방향을 잡고, 사례 분석대상을 선정하였다. 자연생태도시 디자인기법의 사례로 제주도의 유네스코 지정 세계자연유산지역 안내사인, 가로를 통한 도시재생 디자인기법으로는 제주시 연동 차없는 거리, 해양친수공간 디자인기법의 사례로는 2014년 2차 방파제 계획을 앞두고 있는 탑동방파제 조형물 조성 및 탑동 광장조성을 과거, 현재, 미래를 비교 분석하고 도시디자인에서 공공거버넌스의 역할이 미치는 지표를 마련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공공거버넌스와 도시디자인의 평가항목의 추출을 위하여 Logical Micro Process[L.M.P Process]의 평가기준을 조사하고, 제주특별자치도 도시디자인 기본계획을 조사하여 도시디자인 기법의 4단계 레벨별로 요소를 추출하였고, 공공시설물 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Community Services Planning Council의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고 Jakes & Shannon의 지역공동체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12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12개의 항목을 기반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주민, 학생, 공무원, 내국인 관광객, 외국인 관광객, 인문학전문가, 토목전문가, 도시계획 전문가, 건축가를 대상으로 설문 및 분야별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공공거버넌스의 3대 요소인 주민 및 관광객, 공무원, 전문가와 유형별 평가항목 상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는 Likert형 7점방법으로 유형별 사례지역의 도시디자인을 조사하고 7점 프로파일도와 7점 다면평가 분석도를 작성하였다. 평가변인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WIN Ver.12.0 프로그램(SPSS INC.2010)을 사용하여 중상관 관계수와 편상 관계수를 추출하여 인자 분석하였다. 도시디자인기법의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공거버넌스 3대 요소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변량 분석기법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도시디자인 평가항목과 공공거버넌스의 평가변인과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향후 공공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기법의 평가모형을 작성하는 곳에 기여하고자 하고 나아가서 공공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기법의 실행 프로세스를 작성하는 곳에 기여하여 만족도 높은 도시디자인기법을 수행하는 곳에 활용되고자 한다.
Author(s)
전성수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7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136
Alternative Author(s)
Sung Su Je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00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01
1. 연구 배경­­­­­­­­­­­­­­­­­­­­­­­­­­­­­­­­­­­­­­­­­­­­­­­­­­­­­­­­­­­­­­­­­­­­­­­­­­ 001
2. 연구의 목적­­­­­­­­­­­­­­­­­­­­­­­­­­­­­­­­­­­­­­­­­­­­­­­­­­­­­­­­­­­­­­­­­­­­­­­ 00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005
1. 연구의 범위­­­­­­­­­­­­­­­­­­­­­­­­­­­­­­­­­­­­­­­­­­­­­­­­­­­­­­­­­­­­­­­­­­­­­­­ 005
2. 연구의 방법­­­­­­­­­­­­­­­­­­­­­­­­­­­­­­­­­­­­­­­­­­­­­­­­­­­­­­­­­­­­­­­­­­­­­­­ 006


제2장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009
제1절 공공디자인 개념­­­­­­­­­­­­­­­­­­­­­­­­­­­­­­­­­­­­­­­­­­­­­­­­­­­­­­­­­­­­­­­ 009
1. 공공디자인의 정의 및 분류 ­­­­­­­­­­­­­­­­­­­­­­­­­­­­­­­­­­­­­­­­­­­­­­­­­­­­009
2. 공공디자인의 특성 ­­­­­­­­­­­­­­­­­­­­­­­­­­­­­­­­­­­­­­­­­­­­­­­­­­­­­­­­­­­­­­­013
제2절 도시디자인 기법 ­­­­­­­­­­­­­­­­­­­­­­­­­­­­­­­­­­­­­­­­­­­­­­­­­­­­­­­­­­­­­­­­014
1. 도시디자인의 정의­­­­­­­­­­­­­­­­­­­­­­­­­­­­­­­­­­­­­­­­­­­­­­­­­­­­­­­­­­­­­­­ 014
2. 도시디자인의 목적 및 본질 ­­­­­­­­­­­­­­­­­­­­­­­­­­­­­­­­­­­­­­­­­­­­­­­­­­­­­016
3. 도시디자인의 문제점 추진방향 제시­­­­­­­­­­­­­­­­­­­­­­­­­­­­­­­­­­­­­­­­­­­ 018
제3절 공공거버넌스의 연계성 ­­­­­­­­­­­­­­­­­­­­­­­­­­­­­­­­­­­­­­­­­­­­­­­­­­­­­­­­027
1. 공공거버넌스의 정의­­­­­­­­­­­­­­­­­­­­­­­­­­­­­­­­­­­­­­­­­­­­­­­­­­­­­­­­­­­­­ 027
2. 공공거버넌스의 목적 ­­­­­­­­­­­­­­­­­­­­­­­­­­­­­­­­­­­­­­­­­­­­­­­­­­­­­­­­­­­­­028
3. 공공거버넌스의 구성요소­­­­­­­­­­­­­­­­­­­­­­­­­­­­­­­­­­­­­­­­­­­­­­­­­­­­­­­ 030
4. 공공거버넌스의 추진방향 제시 ­­­­­­­­­­­­­­­­­­­­­­­­­­­­­­­­­­­­­­­­­­­­­­­­­031



제 3장 선진지역 사례조사 ­­­­­­­­­­­­­­­­­­­­­­­­­­­­­­­­­­­­­­­­­­­­­­­­­­­­­­­­­­­­035
제1절. 브라질의 환경생태도시 꾸리찌바시­­­­­­­­­­­­­­­­­­­­­­­­­­­­­­­­­­­­­­­­ 035
제2절. 싱가폴의 도시디자인 성공사례 ­­­­­­­­­­­­­­­­­­­­­­­­­­­­­­­­­­­­­­­­­­­­­036
제3절 일본의 도시재생 디자인 성공사례­­­­­­­­­­­­­­­­­­­­­­­­­­­­­­­­­­­­­­­­­­ 038
제4절 영국의 도시디자인 성공사례­­­­­­­­­­­­­­­­­­­­­­­­­­­­­­­­­­­­­­­­­­­­­­­­­ 039
제5절 덴마크의 문화공간 및 거리조성 도시재생 성공사례­­­­­­­­­­­­­­­­­­­­­ 042
제6절 프랑스의 도시디자인 성공사례 ­­­­­­­­­­­­­­­­­­­­­­­­­­­­­­­­­­­­­­­­­­­­­­043
제7절 미국 도시디자인 성공사례­­­­­­­­­­­­­­­­­­­­­­­­­­­­­­­­­­­­­­­­­­­­­­­­­­­­ 044
제8절 스페인의 친수공간도시 빌바오 구겐하임 ­­­­­­­­­­­­­­­­­­­­­­­­­­­­­­­­­­046
제9절 사례연구 시사점­­­­­­­­­­­­­­­­­­­­­­­­­­­­­­­­­­­­­­­­­­­­­­­­­­­­­­­­­­­­­­­ 049


제4장 유형별 사례지역 도시디자인기법의 현황­­­­­­­­­­­­­­­­­­­­­­­­­­­­­­­­­­­­­­ 051
제1절 조사설계­­­­­­­­­­­­­­­­­­­­­­­­­­­­­­­­­­­­­­­­­­­­­­­­­­­­­­­­­­­­­­­­­­­­­­­­­ 051
1. 조사의 목적 ­­­­­­­­­­­­­­­­­­­­­­­­­­­­­­­­­­­­­­­­­­­­­­­­­­­­­­­­­­­­­­­­­­­­­­­051
2. 조사의 방법­­­­­­­­­­­­­­­­­­­­­­­­­­­­­­­­­­­­­­­­­­­­­­­­­­­­­­­­­­­­­­­­­­­­­­­ 051
3. 도시디자인기법 평가항목 조사 ­­­­­­­­­­­­­­­­­­­­­­­­­­­­­­­­­­­­­­­­­­­­­­­­­053
4. 조사대상지의 선정 ­­­­­­­­­­­­­­­­­­­­­­­­­­­­­­­­­­­­­­­­­­­­­­­­­­­­­­­­­­­­­­­057
제2절 제주시 탑동 해양친수공간 도시디자인기법 조사 ­­­­­­­­­­­­­­­­­­­­­­­­­060
제3절 제주시 연동 차없는거리 도시디자인기법 조사­­­­­­­­­­­­­­­­­­­­­­­­­­­­ 065
제4절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유산지역 도시디자인기법 조사­­­­­­­­­­­­­­­­ 072
제5절 제주특별자치도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요약­­­­­­­­­­­­­­­­­­­­­­­­­­­­­­­­ 080


제5장 도시디자인기법과 공공거버넌스 요소별 상관관계­­­­­­­­­­­­­­­­­­­­­­­ 083
제1절 조사설계 ­­­­­­­­­­­­­­­­­­­­­­­­­­­­­­­­­­­­­­­­­­­­­­­­­­­­­­­­­­­­­­­­­­­­­­­­­083
1. 조사의 목적 ­­­­­­­­­­­­­­­­­­­­­­­­­­­­­­­­­­­­­­­­­­­­­­­­­­­­­­­­­­­­­­­­­­­­­­­083
2. 조사 방법­­­­­­­­­­­­­­­­­­­­­­­­­­­­­­­­­­­­­­­­­­­­­­­­­­­­­­­­­­­­­­­­­­­­­­­­­­ 083
3. 설문지설계 ­­­­­­­­­­­­­­­­­­­­­­­­­­­­­­­­­­­­­­­­­­­­­­­­­­­­­­­­­­­­­­­­­­­­­­­­085



4. 분석방법­­­­­­­­­­­­­­­­­­­­­­­­­­­­­­­­­­­­­­­­­­­­­­­­­­­­­­­­­­­­­­­­­­­­­­­­­­­ 086
제2절 제주권역의 유형별 도시디자인기법 분석­­­­­­­­­­­­­­­­­­­­­­­­­­­­­­­­­­ 087
1. 공공 거버넌스를 적용한 도시디자인 기법의 평가모형­­­­­­­­­­­­­­­­­­­­­ 087
2. 프로파일도 분석 및 리커트척도법 다면평가분석 ­­­­­­­­­­­­­­­­­­­­­­­­­­­ 089
제3절 평가변인의 영향도 ­­­­­­­­­­­­­­­­­­­­­­­­­­­­­­­­­­­­­­­­­­­­­­­­­­­­­­­­­­­­­096
1. 탑동 해양친수공간 - 방파제 조형물 디자인­­­­­­­­­­­­­­­­­­­­­­­­­­­­­­­­­­ 096
2. 연동 차없는거리(바오젠거리) 디자인­­­­­­­­­­­­­­­­­­­­­­­­­­­­­­­­­­­­­­­­­­ 098
3. 제주 세계자연유산지역 디자인­­­­­­­­­­­­­­­­­­­­­­­­­­­­­­­­­­­­­­­­­­­­­­­­­ 099
4. 소결­­­­­­­­­­­­­­­­­­­­­­­­­­­­­­­­­­­­­­­­­­­­­­­­­­­­­­­­­­­­­­­­­­­­­­­­­­­­­­­­ 100
5. 설문자료 ­­­­­­­­­­­­­­­­­­­­­­­­­­­­­­­­­­­­­­­­­­­­­­­­­­­­­­­­­­­­­­­­­­­­­­­­­­­102


제6장 결론­­­­­­­­­­­­­­­­­­­­­­­­­­­­­­­­­­­­­­­­­­­­­­­­­­­­­­­­­­­­­­­­­­­­­­­­­­­­­­­1 0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07
1. 선진사례요약 ­­­­­­­­­­­­­­­­­­­­­­­­­­­­­­­­­­­­­­­­­­­­­­­­­­­­­­­­­­­­­­­­­­­­­­107
2. 제주권역 유형별 도시디자인기법 조사결과­­­­­­­­­­­­­­­­­­­­­­­­­­­­­­­­­­­ 109
3. 평가항목 선정 ­­­­­­­­­­­­­­­­­­­­­­­­­­­­­­­­­­­­­­­­­­­­­­­­­­­­­­­­­­­­­­­­­­­­­110
4. 다면평가분석 결과­­­­­­­­­­­­­­­­­­­­­­­­­­­­­­­­­­­­­­­­­­­­­­­­­­­­­­­­­­­­­­­ 111
5. 유형별 사례조사의 편상관계수 종합결과­­­­­­­­­­­­­­­­­­­­­­­­­­­­­­­­­­­­ 113
6.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120




참고문헌 ­­­­­­­­­­­­­­­­­­­­­­­­­­­­­­­­­­­­­­­­­­­­­­­­­­­­­­­­­­­­­­­­­­­­­­­­­­­­­­­­­­­121
Abstract­­­­­­­­­­­­­­­­­­­­­­­­­­­­­­­­­­­­­­­­­­­­­­­­­­­­­­­­­­­­­­­­­­­­­­­­­­­­­­­­­­ 128


부록 ­­­­­­­­­­­­­­­­­­­­­­­­­­­­­­­­­­­­­­­­­­­­­­­­­­­­­­­­­­­­­­­­­­­­­­­­­­­­­­­­­­­­­­­­132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