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설계 도구의 변화가 건축형태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Design Tool Changes on the Formation of Building.
- Abstract
- 컴퓨터라는 새로운 도구의 도입으로 건축분야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아날로그적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었다. 컴퓨터는 건축에서 새로운 디자인 도구가 되었다. 도구가 건축의 본질을 바꾸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건축의 변화를 도구 중심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도구의 변화가 건축가의 디자인 개념, 형태생성 기법, 프로세스를 통해 어떻게 건축으로 재현되어 나타나는지 알고자하였다. 디지털 디자인 도구의 변화와 건축가의 작품에 나타난 형태형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주요한 디지털 디자인 작가의 선정과 작품분석을 수행하였다.
디지털 기술 도입 이전의 건축 디자인은 1987년 이전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시기에는 디자인 표현 보조 도구로서 초기 CAD가 쓰였다. 건축가의 사고와 개념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단순 작업의 반복을 줄여주고 효율적 작업이 가능해지는 작업 방식의 변화는 있었다. 이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디지털 디자인 도구는 디자인 표현 매체로 사용되는데, Peter Eisenman의 Aronoff Center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시기는 디자인 도구을 통해 사고와 개념이 확장되었음을 다이어그램을 통해 알 수 있었다. 3D 가상공간에서의 형태생성 및 변형이 가능해지고, Frank O. Gehry의 Barcelona Fish와 같은 작품에서 현실의 모델을 가상공간에 재현하는 기술적 특징을 볼 수 있다. Form-Z를 비롯한 디지털 디자인 도구가 건축가의 디자인 표현 매체로 작용되었고, 이는 고전적인 형태적 한계를 벗어날 수 있게 하였다.
1994년 Guggenheim Museum은 디지털 디자인 도구가 현실 재현의 도구가 되는 기념비적 작품이다. 앞의 Barcelona Fish에서의 구축과정을 경험삼아 역공학 기술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이후의 비선형 건축형태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00년 이후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NURBS 기반의 곡선 통제가 가능해 짐에 따라 자유곡면의 재현, 형태생성과 구축이 통합된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디자인 건축에서 도구의 변화와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건축가의 형태형성 특성을 시기적 연대기로 디지털 도입 이전의 건축, 디자인 표현 매체로의 디지털 건축, 현실 재현의 도구, 창발적 진화기의 디지털건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시기별 주요 건축 작품에 나타난 디자인 개념, 형태생성기법,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디지털 디자인 도입기의 건축에서 피터 아이젠만의 경우 건축형태기법의 변화와 확장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디지털 표현 매체로서의 디지털 건축의 시기는 가상공간으로의 재현이 주된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건축의 두 번째 시기적 분류는 현실 재현성이다.
넷째, 이러한 디지털 디자인 건축을 디지털 디자인 도구의 변화에 따라 건축형태형성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디지털 디자인 도구의 도입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작업의 편리성과 함께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적용범위와 실현 가능성을 확대시켰다. 디지털 기술로 인한 공간 구현 프로그램들은 디자인 개념과 건축형태형성 기법의 확장을 가져왔고, 기술과 도구가 발전됨에 따라 기능, 구조, 형태에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하던 도구들이 현대 디지털 디자인 건축에서는 통합적인 틀 안에서 구축되고 이러한 기반의 시스템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매개변수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 결과물을 생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Author(s)
- 현준섭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0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186
- Alternative Author(s)
- Hyun, Jun Sub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건축공학과
- Advisor
- 홍성민
-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1.3. 연구 흐름도 4
2. 디지털 설계와 건축 5
2.1. 디지털 설계의 일반적 고찰 5
2.2. 디지털 환경과 설계 7
2.3. 디지털 환경과 건축 9
2.4. 디지털 기술과 건축 설계 11
2.5.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 15
2.6.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건축가들의 견해 16
2.7. 소결 18
3. 디지털 설계 건축 설계에서의 디지털 설계 도구의 특성 20
3.1. 디지털 설계 건축에서의 디지털 설계 도구 22
3.1.1. CAD 22
3.1.2. 3Ds Max 23
3.1.3. Rhino 23
3.1.4. Form-Z 24
3.1.5. Maya 25
3.1.6. CATIA 25
3.2. 디지털 설계 도구의 특성 26
3.2.1.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26
3.2.2. 설계 도구의 모델링 기법 26
3.2.3. 3D 프로그램의 작업 흐름 27
3.2.4. 기능적 도구가 건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건축가들의 견해 28
3.3. 디지털 설계 도구 사용 특성 29
4. 디지털 설계 도구와 건축형태형성 32
4.1. 디지털 기술 도입 이전의 건축 설계 32
4.2. 설계 표현 매체로서의 디지털 설계 37
4.3. 현실 재현의 도구로서의 디지털 설계 46
4.4. 창발적 진화를 위한 디지털 설계 52
4.5. 종합 56
5. 결론 5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축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