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 Abstract
- Abstract
This paper tend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to the Myanmar Students, the Korean culture through proverbs for use. I analyzed it, particularly for the teaching. Proverbs are the treasures that are based on the language; each nationality is used in each country, and the proverbs are representative for lifestyles, religion, and attitude of his people. That is why it is my opinion that you must study proverbs for understanding culture.
Firstly, this paper started by literature special relate to the seven universities; Yonsei-University, Goryo-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Ewha Women’sn University, Sung Kyun Kwan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and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fterwards, that I gathered 344 Proverbs of TOPIK and of other (Cho Kyun-yoon: 2007) in which there are the collections of the scholar in the books and in the theses.
In this paper there are 3 main parts; 1) proverbs of the same meanings and presentations, 2) proverbs of the a little bit similar meanings and presentations, and 3) proverbs of the same meanings and different presentations. Interviewing with 53 Myanmar people work in Busan and Daegu, as well as learning Korean language, I did practical survey for the teaching to the basic and the intermediate levels. Finally, I conferred with the data of the practical survey and the literary one for Myanmar students, learn the Korean language.
- Author(s)
- 라민툰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2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01
- Alternative Author(s)
- HLAMINT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Advisor
- 채영희
- Table Of Contents
-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1.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4
1. 3 선행연구 6
Ⅱ. 문화교육으로서의 속담 기능 11
2.1문화와 문화 교육 11
2.1.1 언어와 문화의 관계 11
2.1.2 문화교육의 필요성 14
2.2속담에 반영된 문화 17
2.2.1 한국속담과 문화 18
2.2.2 미얀마 속담과 문화 19
Ⅲ. 한국어 교육용 속담 선정과 미얀마속담과의 비교 분석 25
3.1 교육용 속담 선정하기 25
3.1.1 국내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현황 25
3.1.2 한국어 능력 시험에 나오 속담 분석 40
3.2 미얀마 속담과의 비교 분석 49
3.2.1 구제적인 내용 속담 비교 분석 50
가.‘의’관련된 속담 비교 분석 50
나.‘식’관련된 속담 비교 분석 52
다.‘주’ 관련된 속담 비교 분서 56
3.2.2 추상적인 내용 속담 비교 분석 59
가. 가정 및 여성 관념 속담 비교 59
나. 교훈적인 속담 비교 분석 62
다. 종교 관련 속담 비교 분석 66
Ⅳ.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속담 목록 설정 및 설문조사 70
4.1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속담 선정 70
4.1.1 표현 방식과 의미 기능이 유사한 속담 70
4.1.2 표현 방식과 의미 기능이 일부 유사한 속담 73
4.1.3 표현 방식이 다르지만 의미기능이 유사한 속담 76
4. 2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속담 항목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79
4.2.1 설문 내용 및 결과 79
가. 설문 조사할 목록 선정 기준 79
나. 조사 결과 81
4.2.2 문제점 및 해결방안 84
Ⅴ. 결론 87
참고 문헌 90
95
미얀마어문초록 104
국문초록 10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