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중국인 관광객 방문실태와 유치 증대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Study on the state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Busan and how to attract more them to Busan
- Abstract
- 초록(Abstract)
관광이란 한 도시에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하고 편안하게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많은 사람들의 왕래로 인해 보다 역동적인 도시를 가꾸고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중국은 눈부신 경제발전과 함께 소득이 늘고 중산층이 두터워지면서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원바오(溫飽) 시대에서 더 나은 생활환경과 삶의 질 등을 추구하는 샤오캉(小康) 시대로 변모하면서 소비트렌드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여가와 관광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1992년 한중 외교관계가 수립된 이후 교류의 범위가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영역으로 확대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는 공간적인 접근성과 역사적인 교류관계를 통해 양국간에 문화의 유사성 등을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던 것이다.
또한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의 가파른 성장을 기반에 두고 세계 각국뿐만 아니라 국내 타 경쟁도시와도 격돌해야 될 상황 속에서 중국 관광시장에서의 부산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급변하고 있는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이해와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의 실태와 중국인 관광객의 방한 특성 및 해외 출국행태 변화를 살펴본 다음 부산의 경쟁상대인 타 시도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활동 사례에서 도출된 성공요인들을 토대로 부산시 중국인 관광객 유치 증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부산이 관광 거점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부족한 관광인프라(H/W) 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현재 건설 중인 부산시민공원을 미국의 센트럴파크(central park)나 영국 런던의 하이드파크(hyde park)와 같은 개념의 세계적인 공원으로 조성하여 세계 주요 도심 속의 공원들과 견줄 수 있는 도심생태계의 오아시스로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관광 소프트웨어(S/W) 개선 및 서비스 마인드 제고를 위해 중단기 추진 계획을 수립하여 늘어나는 관광 수요에 대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업계 및 요식업소 종사자 등을 상대로 한 상시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중국 관광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모객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부산지역의 전담여행사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통 및 접근성 확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최근 부산을 방문하는 중국인 개별여행객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어 관광안내표지판의 추가 설치 및 주요 관광지에는 중국어로 표기한 홍보물을 비치하여 관광객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여야 한다.
넷째, 체험형 여행상품을 확대 개발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중국의 젊은층에서는 개인 취향에 따른 여행목적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들은 과거와 달리 섬, 쇼핑, 신혼여행, 미용, 스타, 단풍, 녹색관광 등 다양한 주제의 전문 탐구형 여행을 더 선호함에 따라 이들을 겨냥한 상품 개발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전략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이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객 유치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현실에서 경쟁과 변화가 극심한 중국 관광시장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관광 홍보 마케팅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ourism is to assist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gather and to help them stay in comfort. In other words, A lot of people coming and going make the city more dynamic and convenient to live, And also revives the local economy.
Recently, The consumption trend of China has moved to a 'Shokang' period that pursues better living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from a 'Wonbao' period that seeks the necessities of life. This is predominantly due to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and growth of the middle class. They have changed their general perception of leisure and tourism.
The range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roadened to almost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since the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in 1992. The fact that both countries are close to each other and have similar culture through historical exchanges has activated their
relationship more than other countrie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hinese tourism market made it so fierce for Busan to compete with other cities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So it is important to study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Chinese tourism market so that we can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and secure our leading position in the tourism market.
This study started from checking the state of the Chinese tourism mark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nd then suggested ways to attract Chinese tourist to Busan below, on the basis of the successful factors of other rival cities through analyzing cases of attracting Chinese tourists.
1. It is required to expand tourism infrastructure to give Busan the appearance of a major tourism hub. We should complete the People's park,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s an international park so as to be an oasis in the urban space that can be comparable to other famous international parks like Central park in New York and Hyde park in London.
2. To cope with increasing tourism demands, it is needed to formulate medium and short term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for tourists. So it is required to operate constant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employees working in the tourism and restaurant industries as well as to foster specialized travel agencies that can directly provide service to the Chinese tourism market.
3.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portation and to improve accessibility. The increase of individual tourists made it necessary to add more signs and promotion materials written in Chinese so that we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contribute to the convenience of the tourists.
4. It is needed to develop more tour packages by
experience. Recently young Chinese tend to base the purpose of their trip on their tastes. Unlike in the past, they prefer specialized tours of diverse themes such as island, shopping, honeymoon, beauty treatment, celebrities, fall foliage, green tour and so on. 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tour packages to meet their needs.
5. It is needed to focus more on strategic promotion and marketing. It's essential to establish long-term and systematic master plan about adapting the Chinese tourist market to survive in keen competition with other countriesto attract Chinese tourists.
- Author(s)
- 장성수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1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 Department
- 국제대학원 중국학과
- Advisor
- 김창경
- Table Of Contents
- 목차(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가. 연구의 배경 1
나.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3. 선행연구 6
Ⅱ. 국제관광의 추세 및 중국 관광시장 현황 10
1. 국제관광의 의의와 추세 10
가. 국제관광의 의의 10
나. 국제관광의 특성 12
다. 국제관광시장의 전망 16
2. 중국 관광시장의 현황 및 성장추세 18
가. 중국 관광시장의 현황 18
나.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의 변화와 성장추세 20
3. 중국인 관광객 유치 사례 24
가. 중앙정부 25
나. 지방자치단체 27
다. 시사점 33
Ⅲ. 중국인 관광객 현황과 부산 관광자원의 특징 35
1. 방한 중국인 관광객 현황 및 특징 35
가. 연도별 증가 추이와 비중 35
나. 방한 목적과 여행 동기 40
다. 방한 횟수와 여행 유형 41
라. 소비 실태와 쇼핑 항목 44
2. 부산방문 중국인 관광객 현황 및 특징 46
가. 연도별 증가 추이와 비중 46
나. 중국인 관광객 증가 원인 48
다. 부산관광 목적 및 선택요인 51
라. 소비실태 및 주요 소비품목 52
3. 부산지역의 관광자원 현황 및 특징 55
가. 관광지 현황 및 특징 55
나. 계절별 축제 현황 및 특징 56
다. 관광사업체 현황 및 특징 60
4.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 61
가. 한국여행 평가 61
나.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여행 만족도 62
다. 부산방문 중국인 관광객의 부산여행 평가 및 만족도 64
Ⅳ. 부산시 중국인 관광객 유치 증대방안 67
1. 관광인프라(H/W) 확충 67
가. 부산시민공원을 세계적인 공원으로 개발 67
나. 국내외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동부산관광단지 개발 68
다. 가덕도 관광단지 조성 개발 69
2. 관광 소프트웨어(S/W) 개선 및 서비스 마인드 제고 69
가. 언어소통 원활화를 위한 중국어 교육 강화 69
나.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숙박․음식 등의 개선 70
다. 부산지역 소재 전담여행사 육성 71
라. 분산된 관광통계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72
3. 교통 및 접근성 확대 방안 73
가. 유명관광지별 관광홍보관 및 다국어 안내지원 시스템 설치 73
나. 중국어 인터넷 홍보 웹사이트 확대 74
다. 경전철․도시철도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 및 중국어 표지판 확대 76
4. 체험형 여행상품 확대 76
가. 계층별 맞춤형 관광상품 개발 76
나. 자유여행객을 위한 상품개발 77
다. 수상레저관광 육성을 위한 정책 설정 78
라. 을숙도 생태공원 탐방 체험 78
마. 사계절 관광상품 개발 79
5. 전략적 홍보 및 마케팅 강화 80
가. 중국전문여행기업 및 현지 여행업계와 협력 마케팅 강화 80
나.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관광지 홍보 82
다. 부산시 상해무역사무소의 역할과 홍보 기능 강화 83
Ⅴ. 결론 및 제언 85
1. 연구의 요약 85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86
참고문헌 8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정책대학원 > 중국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