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과 주제중심영어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는 생활과학과에 속하는 일반 교과 내용과 영어 교육을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한 주제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주제중심 통합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영어 어휘력과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는 주제중심 영어교육의 효과와 그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주제중심 영어교육과 그 모태가 되는 통합 영어 교육 및 어휘 학습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하여 탐구하고, 주제중심 영어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및 주제를 관련 문헌 탐색 및 요구 분석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주제중심 영어교육 교수․학습안을 작성하여 이를 실험반인 초등학교 4학년 학급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활과학과 주제중심 영어학습은 기존 영어 교과에서 적용되는 의사소통기능 중심 학습에 비해 학습자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문자언어 어휘 활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지필평가에서는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높은 평균결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그 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두언어 어휘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반 학생들을 어휘능력에 따라 세 수준으로 분류하여 이들 중 표집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어휘 말하기 평가에서는 사전에 비해 어휘의 발화 수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이용한 문장형성 능력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어휘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서 향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보충하여 실시한 수준별 영어일기 관찰에서도 말하기 평가에서와 같이 학습한 다양한 어휘와 표현들을 바탕으로 영어 서술능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반에 적용한 주제중심 영어학습이 구두언어, 문자언어를 통틀어 학생들의 전반적인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기능 중심의 기존 영어 교과 학습에 비해 주제중심 영어학습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어휘의 양과 그 범위가 크고 풍부하여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다양한 분야의 어휘를 관련 주제 학습을 통해 접할 수 있고, 동시에 주제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해당 어휘와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이 많이 제공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의사소통기능 중심의 영어 수업에서는 인위적인 상황과 맥락 속에서 목표언어 학습을 하게 된다는 제한점이 있었지만, 주제중심 영어학습 시간에는 학습자들이 그들의 관심사나 특정 주제에 대하여 사고하고 발화하며 실험․실습 등의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목표언어를 활용하는 경험을 한 것이 어휘력 향상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둘째, 생활과학과 주제중심 영어학습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어휘 학습 태도 및 흥미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의 학습태도가 비교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사후 수집한 실험반 학생들의 소감에서도 주제중심 영어수업이 어휘력 향상에 실제로 도움이 되었으며, 실험 이후에도 더욱 수준높은 주제와 도전적인 과제들을 수행하고자 하는 반응들이 많았다. 이는 기존의 의사소통기능 중심 영어학습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영역의 어휘들, 특히 학생들의 실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미술, 실과, 과학 등 생활과학과 교과에서 추출한 주제와 관련된 어휘들과 이를 활용한 유목적적인 활동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분야의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이를 배워 보고자 하는 학습 욕구를 일으키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흥미검사 결과 일부 어휘학습능력이 낮은 그룹의 학생들에게서는 어휘 학습량에 대한 부담이 증가되었다는 반응과 함께 더욱 학생들의 수준을 배려해 달라는 응답들이 관찰되었다. 어휘력 평가 결과에서는 하 수준의 학생들에게서 실제 어휘력 향상이 눈에 띄게 관찰되었지만 태도검사에서는 그 만큼의 학습 부담이 있었다는 것이 나타나 이러한 학생들을 배려한 교육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me-based English teaching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vocabulary based on their interests, participations and sureness to study vocabulary. Theme-based English instruction, one practice of content-based approach, combines 'language' and 'contents' by the learners' cognitive level and experience. It integrates language with contents of other subjects that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is study focused on English and social scienc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art. All the themes and activities were extracted from those three subjects.
About sixty 4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Haeundae, Busan were select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me-based instruction, integrated learning with science, home economics and art. After the curriculum analysis of English, other content subjects for the study and the students' needs, the integrative elements and themes were abstracted. After a teaching plan for the study was established, it was applied to one half of the selected 4th graders, the treatment group. The others were set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classes were planned for twenty weeks and divided between thirty classes. The treatment group learned English for 2 periods a week according to the theme-based English teaching procedure, while the comparison group learned English by the regular communicative approach without the theme-based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me-based instruction which is integrated with science, home economics and art increased the students' vocabulary. Theme-based instruction gave a good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to learn and acquire a more abundant vocabulary than the regular communicative approach, and also it provide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like experiments, practices and surveys which helped students practice the vocabulary they learned. They allowed students to use English in the more natural context.
Second, theme-based instruction, integrated with science, home economics and art was also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and motivation. The vocabularies of the content subjects: science, home economics and art was familiar to students because the themes of these subj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daily lives, so that made the students more comfortable with the learning material and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during activities. That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earning.
- Author(s)
- 최문주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5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3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 Advisor
- 김은일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3
3. 연구 문제 = 4
4.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주제중심 영어교육 = 6
2. 어휘학습 = 11
3. 주제중심 영어교육과 어휘학습의 관계 = 15
4. 선행연구 = 16
Ⅲ. 연구 방법 = 21
1. 연구 대상 = 21
2. 연구의 설계 = 21
3. 평가 계획 = 23
Ⅳ. 연구 내용 = 27
1. 교육과정 내용 분석 = 27
2. 프로그램 구성의 실제 = 31
Ⅴ. 결과 분석 및 논의 = 51
1. 어휘력에 미친 효과 = 51
2. 학습 흥미도에 미친 효과 = 62
3. 주제중심 영어학습에 대한 소감 및 의견 = 65
Ⅵ.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부록 = 78
사전 영어 어휘력 지필 검사지 = 78
사후 영어 어휘력 지필 검사지 = 81
사전 영어 학습 태도 지필 검사지 = 84
사후 영어 학습 태도 지필 검사지 = 87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 = 90
학생용 수준별 학습지 예시 = 102
학생 포트폴리오 예시 = 10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초등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