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Sr, Ba)2MgGe2O7: Tb3+ Phosphors
- Alternative Title
- Tb3+ 이온이 도핑된 (Sr,Ba)2MgGe2O7 형광체의 형광특성
- Abstract
- Tb3+ 이온이 도핑된 Sr2MgGe2O7 및 Ba2MgGe2O7 형광체를 고온 고상법으로 합성하였다. 시료의 결정성과 결정구조는 X선 회절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 결정상은 EDS 및SEM으로 분석하였다. 형광특성은 여기 및 방출스펙트럼, 수명시간으로 분석하였으며 시Tb3+ 이온의 농도와 시료 온도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였다. 근 자와선 영역 (220 – 330 nm)에서 여기 밴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5D3→7FJ 및 5D4→7FJ 전이에 의한 방출 밴드를 관찰하였으며 이는Tb3+ 이온에 작용하는 결정장의 세기에 의존하였다. Tb3+의5D3→7FJ 전이와 5D4→7FJ 전이 사이의 상호이완 작용에 의한 형광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Sr2+ 이온과 Ba2+ 이온의 도핑 비와 Tb3+ 이온의 농도를 조절하여 청색에서 녹색까지 넓은 영역의 형광 스펙트럼을 얻었다.
- Author(s)
- FAN ZUTAO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650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 Advisor
- HyoJin Seo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Background 3
2.1. Application status of rare earth 3
2.2. Rare-earth doped phosphor 6
2.3. Optical properties and energy transition of Tb3+ 12
2.4. Crystal structure of Sr2MgGe2O7 and Ba2MgGe2O7 14
3. Sample preparation and spectroscopic measurement 19
3.1. Experimental chemical reagents and sample chemical proportion 19
3.2. Sample preparation 20
3.3. Characterization 21
4. Results and discussion 22
4.1. Structure and morphology 22
4.1.1. Crystal structure 22
4.1.2. Morphology and element distribution 24
4.2. Luminescence properties 30
4.2.1. Excitation spectra of Sr2MgGe2O7: xTb3+ and Ba2MgGe2O7: xTb3+ 30
4.2.2. Emission spectra of Sr2MgGe2O7: xTb3+ and Ba2MgGe2O7: xTb3+ 33
4.2.3. Decay of Sr2MgGe2O7: xTb3+ and Ba2MgGe2O7: xTb3+ 43
5. Summary and Conclusions 48
References 50
Acknowledgments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