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법 연구
- Alternative Title
- STUDY ON POETRY TEACHING METHOD
- Abstract
- 현재 문학교육은 한국문학의 전통과 지향점을 이해하고, 문학이 인류보편의 양식임을 이해하게 하는 동시에,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화’는 국어활동과 국어활동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하고, 문학 전통을 찾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역동적 구조로서 문학을 파악하고 민족 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하여 삶의 과정성과 총체성을 체현하는 데 기여한다.
학습자가 삶의 과정과 총체를 이해하고 체현하기 위해서 ‘설화’는 현재 문학교육에도 중요한 학습재(學習材)가 된다. 특히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삼국사기(三國史記)』는 우리 민족의 정신과 삶을 반영하며, 여기에 수록된 설화들은 이야기 구조나 소재가 비슷하게 변형되거나 개작되어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왔다.
이러한 개작의 한 장르인 설화모티프 시는 현재 국어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 제재가 된다. 학습자는 설화모티프 시를 통해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고, 설화의 내용이 현대시로 어떻게 변형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성’을 신장한다.
한편, 학습자는 설화모티프 시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소재를 체험하고 확장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설화모티프 시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상상력의 발현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는 설화모티프 시가 지닌 중요한 가치이다.
현재의 시 교육은 ‘시 장르 통합적 교육 방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설화모티프 시가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바탕으로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이야깃거리와 모티프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감상’하는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안은 모티프인 원전 설화를 읽고 새롭게 창작된 작품에서 어떻게 변용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론-1에서는 2009개정 『문학』교과서의 설화모티프 시 수록 작품 수용양상을 살펴보고, ‘서정주’시로 한정하여 설화모티프 시를 분석하였다. 각 교과서별 작품에 대한 수록 단원 목표 및 을 통해 현행 교과서의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법의 문제점과 설화모티프 시의 교육적 기초를 제시했다.
본론-2에서는 앞의 장에서 드러난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법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설화모티프 시 교육의 방법을 제시했다. 그 방법으로 ‘소재체험하기’, 즉 내면화를 통한 설화모티프 시의 교육적 방법을 논해보았다.
설화 ‘견우와 직녀’를 제재로 한 서정주의「견우의 노래」를 선택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품이라는 점, 설화가 설화모티프 시로 변용 및 수용되는 과정이 비교적 두드러진다는 점, 작품의 내재적 요소―화자, 청자, 배경―를 분석하기에 적절하다는 점, 다양한 소재 활용과 학습자의 체험을 확장하는 교육적 방안 및 효과를 살펴보기에 수월한 작품이라는 점 때문이다.
본론-3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안을 기초로 수업 모형 및 교육 방안을 「견우의 노래」에 적용해 논해보았다. ‘설화모티프 시의 내용이해→수용한 설화 제시 및 전개과정 찾기→수용된 시와 설화모티프의 비교 ․ 분석→작가가 주목해서 변용한 부분 찾기→소재 활용의 다양성 체험’하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고 실제 수업과 관련한 예를 제시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하면, 본 논문은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법을 체계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그 방법으로 창의력 확장을 위한 ‘소재체험하기’라는 내면화 중심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문화적 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설화모티프 시 교육 방법을 고찰해보려고 했다.
- Author(s)
- 추재훈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39
- Alternative Author(s)
- Chu Jae h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Advisor
- 조동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방법 및 절차 9
Ⅱ. 본론 13
1. 2009 개정 『문학』교과서와 설화모티프 시 13
가. 설화모티프 시 수록 현황 17
나. 서정주의 설화모티프 시와 수록 교과서 분석 20
1) 서정주 시와 설화 모티프 20
2) 수록 교과서 분석 23
2. 설화모티프 시 교육의 의의와 방법 29
가. 설화모티프 시 교육의 의의 29
나. 설화모티프 시 교육의 방법 35
1) 설화모티프 시에 수용된 모티프 찾기 40
2) 설화모티프와 시에 반영된 내용 비교․분석 40
3) 설화모티프의 다양한 활용과 확장 42
3. 설화모티프 시 교육의 실제 42
가. 설화모티프 시 수업 모형 및 교육 방안 42
1) 설화모티프 시 수업 모형 42
2) 교육방안 52
나. 설화모티프 시 교수․학습 지도안과 수업의 실제 54
-「견우의 노래」를 중심으로
1) 「견우의 노래」에 대한 이해 54
2) 교수․학습 지도안 59
3) 수업의 실제 63
Ⅲ. 결론 79
* 참고문헌 82
* 국문초록 8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