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출 완성차의 항만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우리나라의 수출에서 자동차 산업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국내 자동차 산업은 수출위주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는 고가이기는 하지만 부피가 크고 무거운 특성 때문에 주로 항만을 통해서 수출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글로벌 공급사슬의 접점에 위치한 항만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국내 완성차 수출 산업의 발전 및 물류비 절감을 위해서는 완성차 수출시 수출항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논문에서 AHP분석을 이용하여 1계층 요인과 2계층 요인의 중요도를 종합분석한 결과 공장-수출항만간 내륙운송비(0.184)가 제1순위, 항만내 화물처리 및 하역비(0.136)가 제2순위, 선적대기시간(0.080)이 제3순위, 배후야적장의 면적(0.079)이 제4순위, 해상운송비(0.070)가 제5순위, 자동차 전용선석 크기(0.068)가 제6순위, 무료장치 및 기타 인센티브(0.060)가 제7순위,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 및 숙련도(0.059)가 제8순위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인 완성차를 대상으로 화물의 특성을 반영한 특정화물 중심의 항만선택연구의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출업체의 수출항만 선택요인을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와 같이 특정 화물별로 항만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된다면 우리나라 항만이 추구해 온 컨테이너 화물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특정 화물 중심의 특화 항만으로 개발 및 발전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utomobile industry has occupied a significant share of Korea's current export. Needless to say, Korea's automobile industry is highly likely to continue to grow via marine shipping.
Although complete automobile is such a high-priced item(which is supposed to be shipped by air) but due to its big volume and heavy weight it has always been shipped from port to port.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port that is located on the contact point of global supply chain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order to select the best export port for automobile, it is critical to check the other factors that affect on port selection procedure.
In this stud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chosen as a main research tool and the factors were rank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incipal factors and detail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the cost of inland transportation between factory and port(0.184), the second factor was service terminal charge and handling charge in port(0.136) and the third factor was the transportation time(0.080). From the forth to eighth factors were same as follow; the area of storage yard(0.079), the cost of sea transport(0.070), the number of special berth for automobile(0.068), the availability of free equipment and incentives(0.060), the level of speciality and workmanship of operating port personnel(0.059).
This study indicates the frame of port selection tool considering the cargo characteristic of the complete automobil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export item of South Korea. In addition, it was dedicated to draw the factors that export companies consider when selecting an export port and analyze them empirically.
Lastly, as a researcher of port selection, I strongly believe that studying on port selection by specific cargo, unlike we have pursed to have container ports before, must be continue and will be very much helpful for becoming competitive specialized ports in the world.
Author(s)
이영찬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6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46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이정윤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ⅴ
ABSTRACT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4

제3절 논문의 구성 6

제2장 기존연구 및 이론적 배경 8
제1절 자동차 산업 공급사슬 관리와 관련된 연구 8

제2절 공급사슬 주체로서 항만에 대한 연구 11

제3절 중소항만의 성장전략에 대한 연구 14

제4절 화주의 항만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17



제3장 우리나라 완성차 수출구조와 수출항만의 변화 21
제1절 완성차(HS code 8703) 물류 프로세스 21
3.1.1 조달물류부문 22
3.1.2 생산물류부문 23
3.1.3 판매물류부문 24
제2절 우리나라 전체 수출 및 완성차 수출의 구조 변화 26
3.2.1 수출 품목 구성의 변화 27
3.2.1 완성차 내수-수출비중의 변화 28
제3절 우리나라 완성차 생산입지 및 수출항만의 변화 31
3.3.1 전체 품목 항만-공항 이용비율의 변화 31
3.3.2 완성차 항만-공항 이용비율의 변화 32
3.3.3 우리나라 완성차 생산입지의 변화 32
3.3.4 우리나라 완성차 수출항만의 변화 34

제4장 수출 완성차의 항만선택 요인에 관한 분석 37
제1절 계층분석법(AHP) 및 연구모형 37
4.1.1 AHP의 개요 37
4.1.2 AHP의 적용절차 38
4.1.3 연구모형 41
제2절 설문조사 대상자 선정과 응답 결과 43
4.2.1 설문조사 대상자 선정 43
4.2.2 설문대상자 응답 결과 44

제3절 실증분석 결과 46
4.3.1 1계충 요인 평가결과 46
4.3.2 2계층 요인 평가결과(비용) 47
4.3.3 2계층 요인 평가결과(시간) 48
4.3.4 2계층 요인 평가결과(항만특성) 50
4.3.5 2계층 요인 평가결과(서비스) 51
4.3.6 복합가중치를 통한 중요도 종합분석 53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56
제1절 연구 요약 및 결론 56
제2절 연구 의의 및 시사점 58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59

* 참고문헌 60
* 부록 6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