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여가 활동 참여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차이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 유형 및 참여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는 아직 미분화된 발달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유치원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누적된 스트레스는 좌절과 무력감, 상실감 등으로 인해 소진으로 이어진다.
이는 교사에게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여가활동이 제시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유형, 참여 몰입도와 심리적 소진 경험 사이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가 겪고 있는 심리적 소진 경험 과정에서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가 예방적 기능의 가능성을 추리할 수 있다면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완화하여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고 유치원 교사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여가활동의 참여형태와 여가 참여 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수민(1998), 김성규(1997)등의 선행연구에서 설문문항을 발췌 후 주활동과 부활동으로 구분하여 활동의 형탸를 알아보았고, 교사 소진을 알아보기 위해 Maslach와 Jackson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김정휘(1992)을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어진 연구문제에 따라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의 참여도를 알아본 결과 주 활동에서는 주 2~3회 주 60분 동안 친구와 함께 감상·관람 활동을 부 활동에서는 주 1회 동안 60분 동안 친구와 함께 오락 사교 활동을 하는 빈도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치원교사는 만성피로감을 가장 많이 느끼며, 정서적 고갈을 가장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장교사나 원감에 비해 교사가, 4년제 유아교육과 이상 졸업자에 비해 2~3년제 유아교육가 졸업자가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가 소진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알아 본 결과 주 활동과 부 활동에 모든 심리적 소진 하위영역 점수에서 결과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 빈도에 따른 집단 간 심리적 소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매일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월2~3회 정도로 적게 참여하는 집단에 비하여 심리적 소진 점수가 낮았다.
여가활동 유형, 참여 몰입도와 심리적 소진 경험 사이관계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사들에게 여가활동이 스트레스를 완화될 수 있는 바람직한 변인으로 여겨지며 유치원 교사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kindergarten teachers' leisure participation. Kindergarten children have yet undifferentiate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the kindergarten teacher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However, in this process, they experience a lot of stress and cumulative stress leads to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loss due to exhausted.
Leisure activities are proposed for stress relief because they have a very negative impact on being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to know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degree and type of leisure activity.
As measurement tools for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s in the study of Ko(1998) and Kim(1997) were excerpt and separated by main activity and sub-activities to know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the participation commitment. To learn teacher burnout, th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which was adapted by Kim (1992).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by using the SPSS program for a given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e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es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s witnessed in listening and watching in 2 to 3 times a week for 60 minutes with friends as the main activity and entertainment and social activities once per week during the 60 minutes with friends as the next preferred one.
Second, in an effort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kindergarten teacher burnout, kindergarten teachers were found to most feel chronic fatigue, and least feel emotional exhaustion while teachers rather than the head teacher or president, college graduates from 2 year school rather than 4 year school, single than married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feel exhausted.
Third, the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teacher burnout show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for all sub-areas of the burnout in the main activity and sub-activities. Howeve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etween groups revealed its significant effect that the score of the burnout was lower in teachers in daily leisure activities than the ones who enjoy less like 2 to 3 times a month.
This study showed, despit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immersion and the burnout, leisure activities were considered to be a desirable variables which can reduce teachers' stress and boost them to perform effectively.
Author(s)
박성은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89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27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Advisor
이희영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심리적 소진 8
2. 여가활동 13
3. 심리적 소진과 여가활동 간의 관계 28

Ⅲ. 연구 방법 33
1. 연구 대상 33
2. 연구 도구 34
3. 자료 분석 36

Ⅳ. 연구 결과 38
1.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 실태 38
2. 유치원 교사가 지각 하는 심리적 소진 45
3. 유치원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와 심리적 소진의 차이 19

Ⅴ. 논의 및 결론 60
1. 논의 60
2.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7
부 록 7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