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 제습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about application of Dehumidification system in the underground.
- Abstract
- Residential complex buildings is increased lately, car parks of these buildings will go down to the underground. Underground car parks are located in the ground which required ventilation, the underground space is accompanied by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during ventilation with outside air. Condensation occur the problems of user's safety, and durability of buildings . Particularly the rainy season in the summer is so hot and humid, that condensation is intensively occurred .
Analysis the generation of the process and causes of the condensa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ata of the air flow from air inlet to air outlet and find the point of the rainy season of condensation.
Using STAR-CCM+(CFD tool) find out the point of a condensation with the outside air temperature(25℃, 30℃), through the comparison of existing ventilation equipment operation and applying additional jet fan there's no effects to prevent condensation. Demonstrating the need for Dehumidification equip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nd research on ways to apply the process of the dehumidification equipment.
- Author(s)
- 곽재명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95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337
- Alternative Author(s)
- Kwak Jae My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 Advisor
- 금종수
- Table Of Contents
- 목 차
그림 목록 ⅳ
표 목록 ⅴ
Abstract ⅶ
제1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기존 연구 3
1.3 연구의 목적 4
1.3.1 연구범위 및 방법 5
제2장 기초 이론 6
2.1 지하 주차장 환기시스템 고찰 6
2.1.1 환기의 정의 6
2.1.2 환기의 종류 6
2.2 지하주차장 환기방식의 분류 8
2.2.1 무혼합 환기시스템 8
2.2.2 덕트 환기시스템 9
2.2.3 고속노즐 환기시스템 9
2.2.4 제트팬 환기시스템 10
2.3 결로 11
2.3.1 결로의 정의 11
2.3.2 결로의 종류 13
2.3.3 결로 방지방법 16
2.4 지중공간의 특성 17
2.4.1 지중공간의 열환경 18
제3장 실측 장치 및 방법 19
3.1 대상 건물의 개요 19
3.1.1 대상 건물의 특징 19
3.1.2 대상 지역의 도면 20
3.1.3 급·배기구 위치 및 특징 21
3.2 실측 장비 및 방법 22
3.2.1 실측 장비 22
3.2.2 온·습도 측정 위치 23
제4장 실측 결과 및 CFD 해석 24
4.1 실측 결과 24
4.1.1 열화상 카메라 측정 결과 24
4.1.2 T&D TR-72U 측정 데이터 25
4.1.3 지중온도의 영향 27
4.1.4 급기 측과 배기 측의 절대습도 28
4.1.5 온·습도별 노점온도 다중회귀분석 29
4.1.6 급기 측 온도별 결로 발생 상대습도 32
4.2 CFD 해석 33
4.2.1 사용되는 CFD 프로그램 33
4.2.2 해석과정 34
4.2.3 해석목적 35
4.2.4 해석결과 44
4.3 요약 44
제5장 결 론 45
참고문헌 47
감사의 글 4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냉동공조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