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초고층 공동주택 구조물 진동 저감 대책의 경제성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Economic Valuation of mechanical Vibration Reduction Methods in the high-rise Apartment
Abstract
본 연구는 해운대 ○○에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용도를 고려한 진동 설계 목표치를 설정하여 냉각탑, 실외기 등의 건물 내부 유틸리티 설치 등의 진동원에서 기인하는 진동 영향성 평가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경제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조물의 동적해석결과를 보면 사용용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엘리베이트 기계실에서의 진동은 구조물과 완충공간으로 인하여 주거부에서의 허용기준치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보이나, 기계실(중간층), 냉각탑 및 코젠 기계실(옥상층), 헬스클럽, 전기실(중간층)에서의 진동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각각 별도의 소요 저감 효율에 만족하는 진동저감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 영향성 분석 결과에 따라서 각각의 진동원에 방진 효율이 기계실 고효율잭업방진 89%, 냉각탑 및 코젠 바닥 고효율잭업방진 92%, 헬스클럽 에어마운트방진 95%이상, 전기실 일반잭업방진 83%, 엘리베이터 실에는 권상기 패드방지 이외 방진제외와 같이 방진 대책 공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은 앞으로 건축물이 대형화 및 초고층화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건물 사용 시 최적의 방진대책을 적용시킴으로써 주거의 환경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 : 경제성, 진동, 동적해석, 방진대책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igh-rise buildings; estimate the effect of vibration when the mechanical utilitie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evaluate the economic benefi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echanical vibration reduction methods. The finding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magnitude of vibration that come from a mechanical room is a little different with others. In detail, the magnitudes of vibration of the elevator room appear within the limited value of vibration criteria. Whereas, the magnitudes of vibration of the general mechanical room, co-generator room, health club room, and electric room exceed the acceptable limitation of vibr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ibration reduction analysis, the implemented methods met the requirements of vibration standard. They include jack-up for the general mechanical room, co-generator room, and electric room; air-mount for health club room; and pad for elevator roo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se methods were high efficiency in a high-rise building especially in economic effect.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hope th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work management in a high-rise apartment, as well as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Keywords: Economic valuation; Vibration reduction;Dynamic analysis;High-rise apartment
Author(s)
이선호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96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345
Alternative Author(s)
Lee, Sun H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dvisor
이영대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ⅳ
Abstract ⅶ
국문요약 ⅸ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적 고찰
2.1 진동기본이론 4
2.2 방진기본이론 6
2.3 구조물 제진이론 9
2.4 진동 허용규제치 17

제3장 사례자료 수집 및 분석
3.1 해운대 00 프로젝트 구조물 개요 및 진동 허용 기준치 24
3.2 기준층 구조물 동적 해석 26
3.3 기준층 구조 해석 모델 29
3.4 구조 동강성 평가 30
3.5 구조 소음 31



제4장 진동 영향성 평가 결과 및 고찰
4.1 동적해석 결과 및 고찰 34
4.2 진동 저감 대책 결과 및 고찰 47
4.3 진동 저감 대책의 경제성평가 55

제5장 결론 65

참고문헌 6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