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 영상매체제품, 현대유형문화제품, 한국 국가이미지가 한국 의료관광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Chinese visitors going to Korea is constantly going up.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is is the influence of Hallyu phenomenon.
Through TV, film, Korean star, recent design of Korean dress and Korean products such as cosmetics, Chinese people make judgments about Korean country image. And just such evaluation makes the consumption and concept of Korean product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Chinese people. So the influence of establishing correct and active attitude towards going to Korea for medical care and sightseeing is staggering, and how to improve the Korean country image, how to enlarge the function of Hallyu phenomenon which is just one of the important aim of this research is a very important topic nowadays.
This research aims at evaluating the influence degree of Chinese visiting intention towards going to Korea for medical care and sightseeing through Chinese comprehension towards Korean Imaging Products, Modern popular cultural products and Korean country image. According the result, we can conclude what Chinese people like, and this can enhance the Korean country image and enlarge the number of Chinese people going to Korea for medical care and sightseeing.
Author(s)
장설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00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38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이춘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1. 연구의 방법 4
2. 연구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6
제1절 한류 및 한류의 현황 6
1. 한류 6
2. 중국 내 한류 현황 8
제2절 한국영상매체과 현대유형문화제품 11
1. 한류 대중문화제품의 개념 11
2. 한류 대중문화제품의 유형분류 13
제3절 국가이미지 19
1. 국가이미지의 개념 19
2. 국가 이미지가 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21
3. 국가 이미지와 소비자 구매행동과의 관계 22
제4절 의료관광 23
1. 의료관광의 개념 23
2. 의료관광의 유형 28
3. 의료관광 상품의 분류 29
4. 한국 의료관광 발전의 형황 30
제5절 의료관광객 방문의도 32
1. 방문의도의 개념 32
2. 중국인 의료관광객의 특징 34
3. 방한 중국 의료관광객의 현황 38
제6절 선행연구의 고찰 40
1. 한국 영상매체제품의 선행연구 40
2. 현대유형문화제품의 선행연구 42
3. 국가이미지의 선행연구 43
4. 의료관광 방문의도의 선행연구 45
5. 의료관광 선택속성의 선행연구 51

Ⅲ. 연구설계 및 방법 52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52
1. 연구모형 52
2. 가설설정 53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3
1. 한국 영상매체제품 53
2. 현대유형문화제품 53
3. 한국국가 이미지 54
4. 의료관광 방문의도 54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54

Ⅳ. 실증분석결과 56
제1절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56
제2절 요인분석 결과 57
제3절 신뢰도 분석 58
제4절 상관관계 분석 59
제5절 연구가설 검증 60

Ⅴ. 결 론 62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2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64

참고문헌 66

설문지 7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