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환경시스템내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거동 및 제어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현대사회의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자연 생태계 내 생물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환경오염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국제연합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이나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등에서 유해화학 환경오염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한 활발한 국제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01년 발표된 스톡홀름협약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하 POPs) 규제에 관한 협약으로 의도적으로 생산된 모든 POPs(산업 화학제품, 농약 등)의 생산과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다이옥신 및 퓨란(PCDD/Fs),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및 Hexachloro benzene(HCB)과 같은 비의도적으로 생산되는 POPs(Unintentional POPs: 이하 UPOPs)를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POPs는 장거리 이동성 때문에 그들이 사용되어진 곳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환경과 인간, 야생동물에게 피해를 입히며, 장기간 잔류하고 생물체에 축적되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어 생태계 내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농축되고 최종적으로 인체의 발암 등 내분비계 교란을 일으키는 내분비계장애물질(EDCs, Endocrine disrupter compounds)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POPs 규제협약안 마련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심각한 위해성에 대한 전 세계적인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협약안의 채택으로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톡홀름협약(Stockholm convention on POPs)과 관련하여 환경부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 (POPs)에 관한 이행 기반을 마련하고 제조, 사용금지 또는 제한, 배출과 관련하여 규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환경매체의 오염 모니터링, 배출원 관리 및 친환경적인 처리 등의 다양한 연구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POPs 물질에 대한 기존의 분석방법을 고찰하고, 환경오염수준 및 발생원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의 해석에 통계적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POPs 거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효율적 제어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규 규제 물질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Author(s)
김현승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0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0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환경공학과
Advisor
김일규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II. 문헌연구 5
2.1. 스톡홀름협약 5
2.2.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 6
2.2.1. 물리화학적 특성 7
2.2.2. 주요 발생원 및 노출경로 11
2.3.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12
2.3.1. 물리화학적 특성 15
2.3.2. PBDEs의 환경 독성 17
2.3.3. 주요 발생원 및 노출경로 18
2.4. Phthalates 20
2.4.1. 물리화학적 특성 22
2.4.2. 발생원 및 노출경로 23
2.4.2.1. 노출대상 및 경로 24
2.5. Pyrethroid계 농약류 27
2.5.1. 종류 및 특성 28
2.6. 국내외 연구/관리 현황 32
2.6.1. PCBs 32
2.6.1.1. 미국 32
2.6.1.2. 일본 33
2.6.1.3. 독일 33
2.6.1.4. 국내 34
2.6.2. PBDEs 35
2.6.2.1. 국외현황 35
2.6.3. Phthalate 36
2.6.3.1. 일본 36
2.6.3.2. 국내 37
2.6.4. Pyrethroid계 농약류 38

III 연구방법 39
3.1. 대상물질 및 지역 선정 39
3.2. 분석방법 40
3.2.1. 시약 및 표준시료 40
3.2.2. 시료의 채취 및 전처리 41
3.2.3. 기기분석 44
3.2.4. QA/QC 52
3.3. 자료의 처리 및 해석 52
3.3.1. 다변량 통계분석 52
3.3.2. 주성분분석 53
3.3.3. 군집분석 58
3.3.4. 평가기법의 적용 60

IV 결과 및 고찰 61
4.1. PCBs의 거동 64
4.1.1. 퇴적물 내 Co-PCBs 분포 및 이성체 분포 65
4.1.2. 토양 내 Co-PCBs 분포 및 이성체 분포 68
4.1.3. 하우스 더스트 내 Co-PCBs 분포 및 이성체 분포 71
4.1.4. PCBs 발생원 추정 73
4.1.4.1. 이성체 분포 특성을 통한 발생원 추정 74
4.1.4.2. PCBs 전 이성체 분포특성을 통한 발생원 추정 78
4.1.4.3. 통계적 해석기법을 통한 발생원 추정 81
4.2. PBDEs의 거동 91
4.2.1. 퇴적물 내 PBDEs 이성체 분포 91
4.2.2. 토양 내 PBDEs 이성체 분포 95
4.2.3. 하우스 더스트 내 PBDEs 이성체 분포 98
4.2.4. PBDEs 발생원 추정 105
4.2.4.1. 이성체 분포 특성을 통한 발생원 추정 105
4.2.4.2. 통계적 기법을 통한 발생원 추정 115
4.3. Phthalates의 거동 121
4.3.1. 퇴적물 내 Phthalates의 분포 122
4.3.2. 토양 내 Phthalates의 분포 124
4.3.3. 하우스 더스트 내 Phthalates의 분포 125
4.3.3.1. 실내환경에서의 Phthalates 노출에 따른 위험성 127
4.4. Pyrethroid계 농약류의 거동 129
4.4.1. 퇴적물 내 Pyrethroid계 농약류의 분포 130
4.4.2. 토양 내 Pyrethroid계 농약류의 분포 131
4.4.3. 하우스 더스트 내 Pyrethroid계 농약류의 분포 132
4.5. 실내외 농도수준 비교 138
4.6. AOPs의 적용 148
4.6.1. 고도산화처리 148
4.6.1. Fenton / Photo-Fenton을 이용한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148

V 결론 156

참 고 문 헌 16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환경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