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The Assessment of Shoreline Extraction Using Smartphone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연안 침식은 해안선 변화와 더불어 연안 자연환경의 심각한 변화를 야기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연안 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연안 침식 문제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연안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스마트폰 기반 기술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은 3G 네트워크 환경에서 언제, 어디서나 운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카메라, A-GPS, 가속도계, 그리고 자기 계측 센서로부터 고해상도 영상, 카메라 위치, 카메라 자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기존에 이용되었던 기술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스마트폰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안선 모니터링 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 카메라 검정을 통해 렌즈 왜곡을 보정하였다. 다음으로, 2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1쌍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1쌍의 영상은 지상기준점를 이용하여 triangulated 하였고, 각 카메라의 6가지 외부표정요소를 산출한다. 계산된 결과는 스마트폰센서로부터 제공된 외부표정요소와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고 실측된 해안선과 각 시간별 해안선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사보정에서 이용되는 DEM을 생성하기 위해,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저조위 때 intertidal zone을 스캐닝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상영상을 이용하여 해안선 매핑과 intertidal zone의 수직프로파일을 통해 지상라이다 DEM과의 비교를 거쳐 해안선 추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Author(s)
안호용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4997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위성정보과학과
Advisor
최철웅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1
1.2. Scope and purpose of research 2
1.3. Research trends 3

2. Methods 6
2.1. Equipment design 6
2.2. Field experiment 9
2.3. Camera calibration 13
2.3.1. Image collection and shooting targets 13
2.3.2. Geometric camera model 15
2.4. Field Practical application 17

3. Results 20
3.1. Camera calibration 20
3.2. Field experiment 22
3.2.1. Exterior-orientation parameters 22
3.2.2. Accuracy of field experiment 26
3.2.3. Extraction of shoreline using orthoimages 29

4. Discussion 31

5. Conclusions 39

Reference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위성정보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