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UI기반에 따른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Educational Plan for Icon Desing based on UI
Abstract
최근 급속한 정보기술(IT) 발전에 힘입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정보기술의 변화는 새로운 환경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 기반에 따른 아이콘 디자인을 요구하게 되었다.
아이콘은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대화의 시간을 줄어주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준다. 또한 텍스트에 비해서 더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늘날 아이콘은 국제 언어적인 측면도 지니며 텍스트 정보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의 인력에 대한 수요는 점점 높아질 것이고 여기에 발맞추어 체계화된 아이콘 디자인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현행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실용적 기능이나 일반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요구와 조건에 부응하지 못하고 산업현장의 수용에 미치지 못해 기업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IT)의 발달로 디자인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디자인 분야로서 아이콘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내용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Thanks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it becomes possible to deliver the wanted information easily and quickly, and such a chang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es to demand the Icon Desing consequent on the User-Interface-base of new environment.
Icon makes it possible for a user not only to increase its usability by using visual images but also to reduce the chat time as well as to give visual enjoyment. In addition, it has a strong point in that it can display a lot more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ext. Today's Icon has even the aspect of an international language, and promotes a user's understanding as it is used together with tex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in this field will be ever increasing, and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hat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scheme for Icon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to keep pace with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human resources.
However, the currently implemented design education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ails to meet the needs and conditions of the design needed by general corporations, and falls behind the acceptance of industrial settings, thus being ignored by corporations.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instructional plan for Icon Design as a field of design whose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by virtu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develop the contents of Icon Design as well that will be practically helpful to a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in finding employment.
Author(s)
김영훈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2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05
Alternative Author(s)
KIM YOUNG H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홍동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1. UI와 아이콘의 이해 4
가. 아이콘의 개념 5
나. 아이콘의 기능과 역할 6
다. 아이콘의 필요성 8
라. 시각적 구성요소 9
2. 퍼스의 기호학 이론적 고찰 15
가. 기호학의 이해 15
나. 시각적 표현방식의 따른 분류 20
Ⅲ. 부산특성화고등학교의 디자인 교육 현황 및 아이콘을 통한 디자인 수업 방법 연구 23
1. 특성화 고등학교의 개념 23
2.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유형 27
3.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 관련학과 현황 28
4. 부산지역 특성화고등학교 아이콘을 통한 디자인 교육 현황 30
가. 시각디자인 교과 학습 목표 30
나. 시각디자인 교과의 과목군 및 단계별 이수과목 31
다. 아이콘 디자인 관련 교과서 분석ㅍ34
라. 아이콘 디자인 관련 교과 연간 실습 현황 42
5. 아이콘 디자인 수업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44
가. 설문조사 개요 44
나. 조사대상 45
다.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 45
라. 설문조사 결과 45
Ⅳ.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제안 62
1.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개요 62
가.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중점 내용 63
나.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운영 방안 64
2. 아이콘 디자인 교육 방안 개발 목적 64
가. 교수학습지도 계획 64
나. 단원학습목표 65
다. 수업방법 65
라. 학습단원과 목표 65
마. 학습지도시 유의점 66
바. 평가계획 67
사. 세부교수-학습지도안 68
3. 연구·분석 제언 76
Ⅵ. 결론 77
참고문헌 78
부록 설문지 8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