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그래픽디자인교과 분야에 스마트교육 활용과 적용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MART LEARNING SERVICE FOR GRAPHIC DESIGN EDUCATION : Based on Visual Design Course for Busan Design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in Busan
Abstract
지식정보화 사회인 지금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변화하고 있다. 지식의 생성이나 소멸 주기가 단축된 지금, 단편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한 암기 위주의 교육이나 특정 콘텐츠에 의지하는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수많은 정보원을 통해 필요한 지식 정보를 스스로 찾아 배워 갈수 있는 자기 학습 능력을 길러주고 삶에 적합한 자기 지식을 창조해 나가도록 안내해 주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교육에 대한 활성화가 집중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관심도에 따라 디자인교육에서의 스마트교육 접목을 통해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교육수단을 개발함으로써 디자인 교육 수준의 향상을 꾀하려 한다. 특히 다소 교육방법에 한계가 있었던 그래픽디자인 교육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그 교육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을 그래픽디자인 교과 교육에 적용하여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 러닝에 대해 이론적 고찰로 개념을 정의하고, 둘째 스마트교육에 활용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 한다. 셋째 부산지역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그래픽디자인 교과 교육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도출될 수 있는 한계점을 파악한다. 넷째 스마트교육을 활용해 그래픽디자인 교과에 수업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다섯째,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활용한 문제점 개선과 이로 인한 예상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좁은 범위에서는 그래픽 디자인교과 교육의 이론과 실습에 대한 스마트교육의 다양한 적용과 활용의 시발점 제시를 통해 그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 넓은 범위에서는 제안을 통해 e-러닝의 개선요소로 지적된 학습자의 집중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콘텐츠와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학교환경의 개선, 학습자의 교육환경에 참여할 수 있는 학부모,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교수자,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이끌어내는 학습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knowledge is increasing and changing explosive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Nowadays, creation and destruction cycles of knowledge is getting shorter and therefore, education such as, fragmentary knowledge based on memorization-oriented education or knowledge transfer -oriented education which is rely on specific contents is not a good way to transfer knowledge.
We need to find out how to teach self-learning skills from the diverse sources, becaus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learners necessary b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ir own life.
To do this, activating about the smart education has being on the spotlight in society. Depending on these social interests,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mbined with smart educa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improve levels of design educa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education. It can be taking advantages of increase the educational efficiency by smart education.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activating ways of smart education with using smart devices in graphic design education. First, define the concept as a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smart learning. Second, analyze domestic or international cases of using smart education. Third, figure out the fact of limitation of teaching graphic design subject a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in Busan.
Fourth, draw a conclusion from problems of operating graphic design class, with using smart education. Fifth, present the expected effects about improvement of problems in using a smart educ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can be expected by the present a starting point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about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graphic design subject. In a wide range this suggestion can be presented as a way to improve of e-learning. And also we can be expecte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parents wh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tively communicate with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can elicit a self-directed learning.
Author(s)
조승현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28
Alternative Author(s)
Jo, Seung Hy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스마트러닝의 이론적 고찰 4
1. 스마트러닝의 도입배경 및 개념 4
가. e-러닝과 e-러닝의 한계성 4
나. 스마트기기의 기술적 확산 6
다. 스마트러닝의 개념 7
라. 스마트폰 기반의 학습의 의미 11
마. 스마트러닝과 스마트교육 13
2. 선행 연구 및 사례 연구 14
가. 스마트와 산업에 관한 연구 14
나. 스마트기기 교육적 적용 사례 15
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사례 19
라. 종합 시사점 23
Ⅲ. 현행 교과운영 및 그래픽디자인 교과 분석 25
1. 부산지역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 및 전문계 고등학교의 디자인 교과 25
가.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교육 목표 변천 25
나. 부산지역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 및 전문계 고등학교 27
다. 부산지역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 개요 및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과 교육과정 29
2. 현행 그래픽 디자인 교과 분석 33
가. 그래픽 디자인 교과 내용 33
나. 부산시 디자인 특성화 고등학교 및 전문계 고등학교 그래픽 디자인 교과 수업 운영 분석 40
다. 현 수업의 한계점 49
Ⅳ. 스마트교육의 적용과 활용방안 51
1. 국내 스마트교육의 추진전략 및 과제 51
가. 국내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51
나. 국내 스마트교육 추진과제 52
2. 스마트교육의 국내 교과적용 사례 60
가. 타 지역 스마트교육 적용 사례 60
나. 부산지역 스마트교육 적용 사례 65
다. 적용사례 기대효과 67
3. 그래픽디자인 교과 스마트러닝 적용과 활용방안 69
가. 그래픽디자인 교과의 적용 69
나. 그래픽디자인 교과 수업운영의 적용방안 74
다. 필요 기반 시설 및 활용 전략 80
Ⅴ. 결론 84
1. 요약 84
2. 한계 및 시사점 85
참고문헌 8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