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다독의 효용성과 다독을 통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Mi Yeon Par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through extensive reading.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tensive reading club for seven months. They were encouraged to read as many books within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s possible. This club meeting was guided by this researcher, their English teacher. They had English reading activities after school in the school's English library. Students wrote a reading log, reading journal, and a book report in their reading diaries while reading. The teacher observed th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continuously and interviewed them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students showed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after the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for seven months. They also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ies as they wrote book reports many time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tudents can have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when they participate in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continuously. They can als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through this process.
Author(s)
박미연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3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오준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4
3. 연구의 구성 5
4.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1. 읽기 7
가. 정독 8
나. 다독 9
2. 다독의 효용성 12
가. 정의적 영역 12
나. 언어적 영역 13
3. 영어 쓰기 16
가. 쓰기의 정의 및 필요성 16
나. 쓰기 지도 17
4. 영어 읽기를 통한 영어 쓰기18
가. 요약쓰기 19
나. 독후감 쓰기 20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23
2. 연구도구 24
가. 영어 도서실 24
나. 지도교사 26
다. 독서록 27
라. 독서일기 27
마. 독서 보고서 28
바. 면담 29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9
Ⅳ. 연구 결과 분석 31
4.1 영어 다독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태도와
영어에 대한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31
4.1.1 영어 읽기 태도 변화 31
4.1.2 영어 독서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32
4.1.3 지속적인 다독 활동 34
4.1.4 영어 독서를 통한 성취감 35
4.1.5 영어 성적 향상 35
4.2 학교에서 영어 다독을 통해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37
4.2.1 교사의 관찰 38
4.2.2 영어 쓰기에 관한 면담 38
4.2.3 독서 보고서 분석 40
Ⅴ.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7
부록 1 - 학생 A 독서록 50
부록 2 - 학생 B 독서록 53
부록 3 - 학생 C 독서록 59
부록 4 - 독서보고서(양식1) 67
부록 5 - 학생A 독서보고서(양식2) 68
부록 6 - 학생B 독서보고서(양식2) 69
부록 7 - 학생C 독서보고서(양식2) 7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