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순환에 따른 산소소비 및 혈액특성의 변화
- Alternative Title
-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 Abstract
-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의 적정 담수순화 방법 및 저염분 충격에 의한 어체의 생리적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분변화에 따른 산소소비 및 혈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분변화 조건은 대조구인 35 psu (Exp. Ⅰ) 외에 단계적 염분변화 조건인 Exp. Ⅱ(35→20→10→0 psu)과 Exp. Ⅲ (35→10→0 psu) 그리고 급격한 염분변화 조건인 Exp. Ⅳ (35→0 psu)로 하였다.
염분저하 방법별로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수온 27℃에서 실험어의 평균 산소소비량은 Exp. Ⅰ에서 106.9±0.7 mg O2/kg/h였다. Exp. Ⅱ에서는 염분이 35→20→10→0 psu로 낮아지면서 각각 108.1±2.1, 99.6±2.9, 74.6±0.9 및 62.7±1.0 mg O2/kg/h, Exp. Ⅲ에서는 각각 106.5±1.3, 77.0±1.2 및 64.7±1.2 mg O2/kg/h로 감소하였다. Exp. Ⅳ 역시 산소소비량은 35 psu의 109.0±0.9 mg O2/kg/h로부터 0 psu의 71.6±2.0 mg O2/kg/h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iant grouper는 모든 실험 조건에서 암기 보다 명기에 많은 산소소비량을 보여, 주행성 어종인 것으로 추정되나, 명기와 암기의 산소소비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어 혈액의 Hb 및 Ht 값은 염분 35, 20 및 10 psu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분 0 psu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장 이온농도는 염분이 낮아지면서 감소하였다. 혈장 삼투질농도는 Exp. Ⅱ에서 염분이 낮아지면서 각각 363.7±4.1, 336.2±4.3, 333.7±8.4 및 264.0±3.6 mOsm/kg, Exp. Ⅲ에서는 352.5±4.9, 337.6±4.6 및 289.8±2.2 mOsm/kg으로 낮아졌다. Exp. Ⅳ 역시 염분이 낮아지면서 각각 367.4±5.7, 279.3±10.7 mOsm/kg으로 낮아졌다. 혈장 cortisol 농도는 Exp. Ⅱ에서 각각 2.6±0.1, 2.4±0.4, 4.4±0.7 및 6.0±1.0 μg/dL를 나타내, 10 psu 이하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Exp. Ⅲ 및 Exp. Ⅳ에서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혈장 glucose 농도는 Exp. Ⅱ에서 각각 145.3±7.8, 97.8±8.7, 81.4±5.3 및 91.6±6.5 mg/mL로서 염분이 20 psu 이하로 낮아지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giant grouper 치어는 염분저하 방법별 산소소비 및 혈액특성 변화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저염분 순화에 있어 생리적 문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실험과정 중 폐사한 개체도 없었다. 따라서 giant grouper는 염분변화에 매우 강한 광염성 어종이며, 담수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김문진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6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4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수산양식학과
- Advisor
- 장영진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ⅲ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5
1. 실험어 5
2. 산소소비 측정장치 5
3. 실험방법 7
1) 산소소비 측정 7
2) 산소소비량 계산 10
3) 채혈 및 혈액분석 12
4. 통계처리 12
Ⅲ. 결 과 13
1. 염분저하 단계별 산소소비 경향 13
1) 산소소비량 13
2) 호흡수 및 호흡당 산소소비량 19
3) 명․암기별 산소소비량 21
2. 염분저하 단계별 혈액성상 변화 23
1) Hemoglobin과 hematocrit 23
2) 혈장 이온농도 및 삼투질농도 25
3) 혈장 glucose 및 cortisol 29
4) 혈장 total protein 및 total cholesterol 31
Ⅳ. 고 찰 34
Ⅴ. 요 약 40
감사의 글 42
참고문헌 4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수산대학원 > 양식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