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소해만의 환경․방재․이용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bstract
- In this paper, an integrated plan for utilization,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small bay in urban area are proposed. For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for the sea state around Dong-Baek Island focused on Woon-Chon port which is located on the lower reaches of Chun river. Analyze the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a state around Dong-Baek Island and Woon-Chon port by the external force(Typhoon, riv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refer to literature. From the result, numerical modeling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around Dong-Baek Island as the river discharge. And numerical modeling carried out to check the harbor tranquility, and wave height distribution as incident wave. An additional numerical calculation carried out for quality of water as the input of pollutant. Finally,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the small bay in urban area are propos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for water level change as the statistic inflow of Chun river, influent river affects on water level change as the range 80 m to 100 m from the lower reaches of Chun river. Maximum water level change increase as frequency and it needs to consider the water level change.
2. As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for wave height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breakwater, wave height around the lower reaches of Chun river is decreased about 60 % as incident wave is intercepted by the breakwater. From the result, breakwater which is planed can prevent the water lever increase by severe water waves.
3. As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ing for harbor tranquility, a limit wave height for shiping and discharging satisfy when 10 year design wave incident to Woon-Chon port. Wave height is lower than 0.5 m which is a limit wave height for shiping and discharging for medium ․ large sized ship when 10 year design wave incident to Woon-Chon port.
4. Wave energy concentrated at the bay end by the direct open to the gap and reflections. The characteristics should check and control to use inner bay system in considering with water quality control system.
5. Finally the new integrated performance design system has been proposed considered with utilization and minimize the disaster and environmental problem as well as the water front and cost effectiveness.
- Author(s)
- 김해룡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6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5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 Advisor
- 류청로
-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목적 2
1.3 연구내용 및 방법 2
2. 동백섬 인근 해역의 특성 3
2.1 기상환경 3
2.1.1 바람 5
2.1.2 태풍 7
2.1.3 강수량 9
2.2 해양환경 10
2.2.1 조석 10
2.2.2 조류 11
2.2.3 파랑 12
2.3 유입하천의 특성 16
3. 외력에 의한 동백섬 인근 해역의 피해특성 17
3.1 태풍 내습에 의한 해역의 피해특성 17
3.1.1 태풍 매미의 특성 17
3.1.2 해역의 피해특성 19
3.2 유입 하천에 의한 피해 특성 21
3.2.1 수해 현황 21
3.2.2 춘천 유역 내 침수피해현황 22
4. 하천 유입에 따른 흐름특성 수치모델링 23
4.1 수치모델링의 개요 23
4.1.1 기초방정식 24
4.1.2 계산경계조건 27
4.1.3 수치해석 기법 28
4.2 수치모형의 구성 29
4.2.1 모형 계산영역 및 격자구성 29
4.2.2 계산조건 31
4.2.3 수치모형의 검증 32
4.3 하천 유입에 따른 흐름특성 37
4.3.1 3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37
4.3.2 3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41
4.3.3 5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45
4.3.4 10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49
4.3.5 20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53
4.3.6 홍수량 빈도별 수위 변화 57
4.3.7 대표단면의 유속, 수위 변화 60
4.4 춘천천 하류의 흐름특성 62
4.4.1 3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62
4.4.2 5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66
4.4.3 10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70
4.4.4 200년 빈도 홍수량시 흐름특성 74
4.4.5 홍수량 빈도별 수위 변화 78
4.4.6 대표단면의 유속, 수위 변화 81
4.5 오염물질 유입에 따른 수질변화 83
4.5.1 계산조건 83
4.5.2 계산결과 84
5. 동백섬 주변의 파랑특성 수치모델링 85
5.1 SWAN모형의 개요 85
5.1.1 기초방정식 87
5.2 계산조건 96
5.2.1 모형계산 영역 및 격자구성 96
5.2.2 계산조건 96
5.3 계산결과 98
5.3.1 구조물 건설 전의 해역 내 파고분포 98
5.3.2 구조물 건설 후의 해역 내 파고분포 100
6. 운촌항 내부 해역의 정온도 102
6.1 항내파고분포 102
6.1.1 계산조건 102
6.1.2 구조물 건설 전의 운촌항의 정온도 103
6.1.3 구조물 건설 후의 운촌항의 정온도 109
6.1.4 구조물 건설 전․후의 운촌항의 정온도 비교 115
6.2 해역 내부 호안 투수성에 따른 항내 정온도 120
6.2.1 계산조건 120
6.2.2 계산결과 121
7. 도심 소해만의 복합 기능 극대화 시스템 128
7.1 도심 소해만의 물리환경적 조건/가정 128
7.2 도심 소해만의 성능(performance) 요소 128
7.3 성능평가 및 설계 시스템 129
7.3.1 영향인자 129
7.3.2 성능평가의 원칙과 방향 129
7.3.3 도심 소해만의 복합기능 극대화 설계 시스템 130
8. 요약 및 결론 132
참고문헌 13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