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모바일 앱광고의 특성이 광고가치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mpact of Mobile App Ad Characteristics on Ad Value and Ad Attitude: A Comparative Analysis of Smartphone Users between Korea and China
Abstract
Impact of Mobile App Ad Characteristics on Ad Value and Ad Attitude
-A Comparative Analysis of Smartphone Users between Korea and China-


Zhang, Qian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Since intelligent mobile phone launched into market in 2009, in Korea’s whole 50 million population,4 person of every 10 person are using Intelligent mobile phone(40% using rate). Even in China, the intelligent mobile phone’s using rate had achieved to one third (33%).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sumer of intelligent mobile phone’s number is increasing quickly, we should pay more attend on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In this paper, the writer will analyze the mobile application advertisement (APP), which of high business value potential in many of mobile advertisement types.

The writer will take Korea and Chinese Students as research object, use antecedent research methodology, study the 8 possible influent elements related with APP value and attitude.

Study result,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two groups (Chinese and Korean students) in elements of information, personalization, reliability and Invasive.

Key Word: SmartPhone, mobile application advertisement,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attitude.
Author(s)
장천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17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055
Alternative Author(s)
Zhang Qi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남인용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vi
제 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6

제 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모바일 광고 7
1. 모바일 광고의 정의 7
2. 모바일 광고 특성 8
3. 모바일 광고의 유형 분류 12
제2절 애플리케이션 광고 14
1.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정의 14
2.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특성 16
3.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유형분류 22
제3절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시장현황 25
1. 한국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시장현황 26
2. 중국 애플리케이션 광고의 시장현황 28

제 3장 모바일 광고효과에 관한 이론고찰 33
제1절. 웹 광고 태도 모델 33
제2절. 광고가치와 광고태도 36
1. 광고가치 36
2. 광고태도 37

제 4장 연구방법 41
1. 연구모형 41
2. 연구가설 42
3. 측정항목 43
4.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45
5. 분석방법 45

제 5장 분석결과 47
제1절 연구 표본의 특성 47
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47
2. 스마트폰 이용경험 및 앱 이용경험 및 이용시간 48
제2절 측정도구의 평가 50
1.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및 요인분석 50
2.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 55
3. 가설에 대한 검증 58
3.1 한국학생 집단에 대한 가설검증 58
1) 모형의 적합도 검증 58
2) 확인적 요인분석 59
3) 가설검증 및 채택여부 63
3.2 중국학생 집단에 대한 가설검증 64
1) 모형의 적합도 검증 64
2) 확인적 요인분석 65
3) 가설검증 및 채택여부 68
4. 항목별 한국인과 중국인 차이분석 69

제 6장 결론 및 제안 72
1. 연구결과의 요약 72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 74

< 참고문헌 > 76
< 부 록 > 설문지 83
1. 한국어 설문지 83
2. 중국어 설문지 88

< 표 목 차 >

모바일 광고의 분류 및 특징 1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 규모 25
한국 통신3사 스마트폰 가입자 현황 27
2010-2015연도 중국 스마트폰 출고량 상황 28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 연령층 분포 29
2009-2013년 중국 모바일 광고 점유율 30
2011년 1-6월 중국 애플리케이션 광고 클릭률 31
각 요인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항목 43
연구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8
스마트폰 이용경험 및 앱 이용경험 및 이용시간 49
한국학생 요인분석 결과 51
한국학생 신뢰도 분석 결과 52
중국학생 요인분석 결과 53
중국학생 신뢰도 분석 결과 54
한국학생의 변수 간 상관관계 56
중국학생의 변수 간 상관관계 57
한국학생 연구모형의 적합도 결과 58
한국학생 외생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60
한국학생 내생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62
가설검증결과 63
중국학생 연구모형의 적합도 결과 64
중국학생 외생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66
중국학생 내생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67
가설검증결과 68
항목별 한국과 중국 학생 차이분석 69

< 그 림 목 차 >

한국 스마트폰 가입자 현황 26
Ducoffe(1996)의 웹 광고효과모델 34
연구모형 41
한국 학생 집단 수정된 모형 59
중국 학생 집단 수정된 모형 65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