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근로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인식이 조직유효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Medium and Small Company Employee’s Perception of Their Job Training Progra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 Abstract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중 직무관련성, 강사의 자질 및 교수능력, 교육방법, 목표설정, 교육훈련환경이 조직유효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그리고 조직유효성 및 직무성과를 높이는 교육훈련을 위한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에 처음 참여하는 학습대상자들에게는 더욱 검증되고 능력 있는 강사가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훈련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으로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 기회를 늘여나가야 한다.
셋째, 교육훈련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직무성과인 적극적 참여성과, 업무수행능력 및 자신감, 전문지식이 더욱 향상됨으로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 기회를 늘여나가야 한다.
넷째, 직무관련성이 높고 목표설정이 잘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음으로 교육 대상자의 직무를 명확히 분석하여 직무관련성이 높은 교육훈련에 참여하도록 해야 하며, 교육훈련의 목표가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이고 해볼 만한 것이 되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훈련을 통하여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참가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다양한 교육방법이 활용되어야 하며,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보재 및 실습장비, 시청각 자료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Medium and Small Company employee’s perception of their job training progra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participants in training programs for the first time, better qualified and more experienced instructors are needed.
Secondly, the more times the employees taken training programs,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 employees have. And to provide more training opportunities for employees is recommended.
Thirdly, the more times the employees taken training, employees' positive involvement, job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and expertise increase. As a consequence, to provide expanded training opportunities is desirable.
Fourthly, training programs highly job relevant with proper training purposes enh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 selecting more job relevant and challenging program is important for the trainee part.
Fifthly, applying participative activities like group discussion and role playing, and using proper teaching facilities like audio-visual equipments and real instruments increase job performance through training.
- Author(s)
- 이원석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2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14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 Advisor
- 장한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가.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3
나. 조직유효성 4
다. 직무성과 4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중소기업 교육훈련 5
가. 중소기업의 개념 5
나. 중소기업 교육훈련 실태 8
다. 교육훈련의 개념 17
라. 교육훈련의 목적 및 필요성 19
2.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22
가. 직무관련성 23
나. 강사의 자질 및 교수 24
다. 교육방법 26
라. 목표설정 27
마. 교육훈련 환경 28
3. 조직유효성 29
가. 조직유효성의 개념 29
나. 직유효성의 측정방법 33
다. 조직유효성의 구성 변인 34
4. 직무성과 37
가. 직무성과의 개념 37
나. 직무성과의 측정 39
Ⅲ. 연구 방법 41
1. 연구대상 41
2. 측정도구 42
가.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43
(1) 직무관련성 43
(2) 강사의 자질 및 교수능력 43
(3) 교육방법 43
(4) 교육훈련 환경 44
(5) 목표설정 44
나. 조직유효성 44
(1) 직무만족 44
(2) 조직몰입 45
다. 직무성과 45
(1) 적극적 참여 45
(2) 업무수행 능력 및 자신감 향상 46
(3) 전문지식 향상 46
3.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46
가.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46
(1)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분석 47
(2) 조직유효성의 요인 분석 48
나.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48
4. 자료 수집 절차 49
5. 자료 분석 방법 50
Ⅳ. 연구 결과 51
1.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요인 분석 51
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1
나.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별 특성 53
2.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 56
가.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인식의 차이 56
(1) 직무관련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56
(2) 강사의 자질 및 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 59
(3)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 60
(4) 교육훈련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 60
(5) 목표설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 62
나. 배경변인에 따른 조직유효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63
(1)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의 차이 63
(2)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의 차이 64
다.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 66
(1) 적극적 참여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 66
(2) 업무수행능력 및 자신감 향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 67
(3) 전문지식 향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 69
3.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1
가.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1
나. 변인의 하위변인별 성관관계 분석 72
4. 변인 간 영향관계 분석 74
가.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과 조직유효성의 다중회귀분석 74
나.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과 직무성과의 다중회귀분석 75
Ⅴ. 결론 78
1. 요약 및 논의 78
2. 결론 및 제언 80
참고문헌 84
부 록 9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