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물리탐사를 이용한 취약지반에 대한 연구
- Abstract
- 일반적으로 터널, 사면 등의 대규모 공사 전 설계 단계에서 기초지반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반조사에는 크게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지구물리탐사 그리고 현장 또는 실내시험으로구분된다.전술한 조사법들의 방법은 각각 다르나 결국은 지반의 특성, 지층구조 해석, 강도정수를 파악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구간의 지보패턴은 시추조사, 시추코어에 대한 암석물성시험 및 암반분류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있고, 미 시추구간에서는 물리탐사를 병행하여 지반의 취약부 위치 확인 및 연장범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 지역 터널주변에 분포하는 지질학적 개요 및 발달사, 시추조사, 지구물리탐사를 적용하여 기본적인 지반의 생성 및 암석의 분포 상태를 규명하고, 터널구간 중 터널시점 취약부에서 시추위치를 결정하고 효율적인 지구물리탐사를 적용하여 지반조사를 파악하고 전기비저항탐사, 지표탄성파굴절법탐사를 이용한 지구물리탐사 그리고 기본적인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하여 토목시공 구간 중 취약지반 예상 분포위치 및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연구지역에서 사례로 하여 제시하였다.
It is essential to take the ground investigations for the foundation of geotechnical structure such as the tunnel. The major ground investigations chiefly used in the design of the tunnel are divided largely into the surface geological survey, the drilling investigation, the geophysical investigation and the laboratory tests.
The investigation methods above are separately different but the final objective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around the tunnel structure. Generally, the supporting patterns of tunnel can be determined by the design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bed rocks obtained from the drilled cores, and can also be determined at non-drilling sections by adding some physical investigations such as the seismic refraction survey, the seismic refraction tomography, and the earth resistivity surve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files of the rocks around the tunnel area through three physical investigations above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both the drilling and the surface physical investigations.
- Author(s)
- 이현재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2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15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 Advisor
- 정진호
- Table Of Contents
- 목 차
목차 ⅰ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ⅳ
Abstract ⅵ
1. 서론 1
1.1 연구배경 1
1.2 연구범위 및 내용 2
2. 이론적 고찰 3
2.1 선행연구 3
2.1.1 지구물리탐사 3
2.1.2 지형 및 지질 6
2.2 탐사 이론 7
2.2.1 탄성파굴절법탐사(Seismic refraction survey) 7
2.2.2 탄성파굴절법토모그래탐사(Seismic refraction tomography) 10
2.2.3 전기비저항탐사(Earth resistivity survey) 13
3. 자료수집 및 분석 17
3.1 사례 연구자료수집 17
3.1.1 위치 17
3.1.2 지반지질 특성 20
3.2 탐사자료 및 분석 26
3.2.1 탄성파토모그래피 탐사 26
3.2.2 전기비저항 탐사 32
4. 결과 및 고찰 35
4.1 연구결과 35
4.1.1 지형 및 지질 35
4.1.2 탄성파굴절법토모그래피 38
4.1.3 전기비저항 탐사 42
4.2 고찰 43
4.2.1 구성지질에 대한고찰 43
4.2.2 지구물리탐사 결과 고찰 43
5. 결론 51
참고문헌 5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