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해양스포츠의 참여행태와 참여동기 및 여가몰입이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Participation Types
Abstract
해양스포츠의 참여행태와 참여동기 및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 기 환

부경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요약

이 연구는 해양스포츠 활동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국에서 연구자가 대상으로 하는 4개 해양스포츠 종목에 대한 참여가 모두 가능한 부산, 충남, 경기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총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조사원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해양스포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응답요령 및 주의사항을 설명한 후 자기평가기입식(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게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간의 내적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신뢰도의 척도인 Cronbach's α 계수 값은 0.60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도구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났다.
설문지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추출방법은 주축인자법(principal factor method)을 사용하고, 요인의 회전 방법으로는 직교회전의 varimax 방식을 사용 하였다. 공통성(comm unality)이 0.4 이하이거나 요인적재(factor Loading)가 0.6보다 낮은 문항은 제거하였다.

이 연구는 해양스포츠의 참여행태와 참여동기 및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양스포츠 참가자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7명의 해양스포츠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양스포츠의 참여행태와 참여동기 및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대한 논의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스포츠의 참여동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외적동기와 내적동기의 수준이 높았으며, 남자는 여자보다 무동기 수준이 높았고, 연령이 30대 보다 40대 이상 참여자의 무동기 수준이 높았다. 결혼여부별 참여동기 수준 차이는 없었다.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은 성별, 결혼여부별, 연령별 차이가 없으며, 신체적활동 만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사회적활동 만족과 휴식적 활동 만족에 대한 성별, 결혼여부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해양스포츠의 참여빈도는 주 1회가 많으며, 1회 참여시간은 3시간, 참여종목은 요트 기능수준은 중급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외적동기 수준은 참여빈도가 높아질수록 높으며, 1회 3시간 이상 참여자가 높으며 요트, 스포츠잠수, 윈드서핑 참여자가 높으며, 초급이상 수준이 높았다. 내적동기수준은 주 3회 이상 참여자가 높으며 참여시간이나 종목 및 기능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무동기 수준은 주 2회 이상, 1회에 4시간 이상, 요트나 스포츠 잠수, 상급 이상 수준의 참여자가 낮았다.
행위몰입은 주 2회 이상, 4시간 이상, 요트, 초급과 중급 수준이 높았다. 인지몰입은 주 2회 이상 참여하며, 상급 이상의 기능을 가진 참여자가 높았으며 참여시간이나 종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신체적활동 만족은 주 2회 이상, 1회 2시간 이상, 초급의 기능을 가진 경우 높았으나 종목별 차이는 없었다. 사회적활동 만족은 주 3회 이상, 1회 2시간 이상, 조정종목 중급수준 참여자가 높았다. 휴식적활동 만족은 주 2회 이상, 1회 4시간 이상 참여자가 높았으며 참여종목이나 기능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해양스포츠 참여행태에 따른 군집, 주 1회, 1회에 1시간으로 조정이나 윈드서핑 참여자로서 초보 수준인 경우로서 전체의 35.4%를 차지하는 집단으로서 시작하는 단계라 할 수 있겠다. 군집 2는 주 2회 이상 참여하며 1회에 2시간이상, 요트나 스포츠잠수 참여자로서, 초급 이상의 실력을 가진 전체의 62.9% 참여자가 속하는 집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단계라 하겠다.
군집 3은 전체 1.6%의 소수집단으로서 1회에 1시간 정도 주 3회 이상 자주 참여하는 집단으로서 요트, 스포츠잠수, 조정 등 다양한 종목에 참여하는 중급이하의 참여자로서 군집 1과 군집 2의 틈새 집단이라 하겠다.
넷째, 신체적활동 만족과 사회적활동 만족에는 여가몰입이 참여동기 보다 더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으며, 휴식적활동 만족에는 행위몰입과 함께 내적동기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군집 1의 경우 여가몰입만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군집 2의 경우 신체적활동 만족에는 여가몰입과 참여동기 모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활동 만족과 휴식적 활동만족에도 여가몰입과 참여동기 중 일부가 영향을 미치나 특히 행위몰입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uthor(s)
성기환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2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09
Alternative Author(s)
SUNG KI HW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지삼업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문제 6
4.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6
5 연구의 제한점 9
6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해양스포츠 11
2. 참여동기 18
3. 여가몰입 27
4. 생활만족감 35

Ⅲ. 연구방법 40
1. 연구대상 40
2. 조사절차 42
3. 측정도구 44
4. 자료분석 52



Ⅳ. 연구 결과 54
1. 해양스포츠의 참여동기, 여가몰입, 생활만족 수준 54
2. 해양스포츠 참여행태에 따른 참여동기와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 58
3. 해양스포츠 참여행태에 따른 군집분석 64
4. 군집별 참여동기와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67

Ⅴ. 논의 76
1. 해양스포츠의 참여동기, 여가몰입, 생활만족 수준 76
2. 해양스포츠 참여행태에 따른 참여동기와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 77
3. 해양스포츠 참여행태에 따른 군집분석 79
4.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와 여가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80

Ⅵ. 결론 및 제언 82
1. 결론 82
2. 제언 84

참고문헌 85
부 록 99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체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