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용 욕창방지 진동시트 개발
- Alternative Title
- Developement of vibration seat of a wheelchair for preventing ulcer
- Abstract
-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를 시대를 맞이하고 있고, 장애인 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여서, 휠체어의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 특히 하지 마비 중증장애인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로 휠체어를 사용하므로 항상 욕창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욕창은 지속적인 압력, 전단력, 마찰력, 습기, 온도, 내부 상처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예방법으로는 일정시간(최대 2시간)마다 몸을 이동시켜 주는 것, 즉 정적인 집중 접촉압력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욕창발생은 의자와 인체의 엉덩이 부위의 접촉압력이 가장 높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큰 접촉압력으로 장시간 피부가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 모세혈관이 막혀 지방과 근육조직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조직세포가 괴사하면서 욕창의 징후가 나타난다1)∼7).
따라서 휠체어를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는 하지 마비 장애인의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진동방석 개발을 생각하게 되었고, 욕창의 발생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정적인 집중 접촉압력을 낮추기 위해서 피부와 접촉 압력을 분산 시키고, 정지압력상태를 변동압력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욕창 발생 예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동방석은 접촉 압력의 분산과 접촉점의 간헐적 변경이라는 측면만 고려한 기존의 상용 공기쿠션 제품들과는 달리 접촉 압력 분산과 더불어 음향진동자극을 인체의 피부에 인가하므로 근육세포의 치유, 혈류개선, 저주파 진동에 의한 근력향상의 효과라는 장점까지 있을 것으로 예상 한다8)∼12).
진동방석의 진동발생 장치는 A사 제품의 진동트랜듀서를 사용하였고, 장착위치와 용량 등에 따른 집중 접촉압력의 분산 효과와 변동 압력를 평가하여 제작하였다.
The number of people using wheel chairs is increasing as the number of the disabled is increasing.
It is known that the area with the intensive contact with the seat of wheel chairs, the hip area of a person is most likely to develope a ulcer. This is caused by the contact pressure developed over a large area over extended period of time(about two hours). Over this time, the capillary vessels within the affected area become clogged and results the lowered blood circulation in the muscles and thus, causes the tissues to develop necrosis and finally develops the symptoms of a ulcer. Prolonged pressure, pressure transfer, friction, moisture, temperature, and interior abrasion can cause a ulcer.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vibration cushion seat for the wheel chairs was started to prevent pressure sores from developing within the people with paralysis in the lower half of their body and those with frequent wheel chair use. The focus of the vibration seat is to lower and disperse the biggest cause of pressure sore, the prolonged static pressure and to transform the static pressure into dynamic pressure and maintain the pressure status in dynamic pressure status.
Also, while conventional air cushions are designed to only disperse the pressure, the vibration seat is designed to provide not only the dispersion, but also, the acoustic vibration that stimulates skin and causes the muscle tissue to heal, improved circulation, and improved muscle strength through low frequency vibration.
In this paper, dispersion effectiveness was studied and compared with various locations of transducers and the capacity of the transducers. And it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optimal application is with the auxiliary member, the spring inserted within a latex foam and the transducers attached to the spring. This delivers the maximum dispersion and proper dynamic pressure.
- Author(s)
- 김태균
- Issued Date
- 2012
- Awarded Date
- 2012.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218
- Alternative Author(s)
- Kim,Taegy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기계시스템및조선공학과
- Advisor
- 문덕홍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실험 장치 및 방법 3
2.1 욕창 발생 부위 및 실험 장치 3
2.2 실험 방법 5
제 3 장 실험 결과 및 고찰 7
3.1 진동 트랜스듀서의 설치 7
3.2 진동 방석 설계 10
제 4 장 결론 18
참고 문헌 1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기계시스템 및 조선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