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27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선형대류 시스템의 이중 도플러 레이더 분석
- Alternative Title
- Dual-Doppler Radar Analysis of Line-Shaped Convective System on 27 July 2011, Korea
- Abstract
- 요 약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 27일 한반도 지역에 발생한 선형대류 시스템의 발달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하여, 레이더 관측자료, 고층관측자료, MTSAT-IR 위성자료, 자동기상관측자료 (AWS) 등 을 사용하여 강수시스템 주변의 종관적인 환경과 시스템 내부의 3차원 구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27일 0600 LST 의 경우 한반도 지역 하층 (925 hPa)과 중층 (600 hPa)에 각각 355 K 와 330 K 이하의 낮은 상당온위 값이 분포하여 대기는 수직적으로 잠재 불안정한 상태에 있었으며, 수도권 경기 일대 지역으로 하층에 기압골이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관적인 환경은 강수 시스템이 발달하기 좋은 상태였고, 이러한 환경조건은 27일 발생하였던 대부분의 대류시스템에 영향을 미쳤다.
0700 LST - 1000 LST 동안 나타났던 선형대류 시스템의 경우 meso-β 크기를 가지며, 수도권 지역에 최대 80 mm/h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선형의 형태를 띠고 있던 강수 시스템은 후면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셀 이 생성되어 합병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중심이 되는 선형 시스템의 경우 이동 없이 지속적으로 수도권 지역에 머무르고 있었다.
발달 기간과 특징에 따라 두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선형대류 시스템은 내륙과 해양에서 각기 다르게 발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내륙에서 발달한 대류 지역의 경우 하층에 강한 수렴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수렴지역을 따라 더 강하고 높게 발달한 특징이 나타났다. 반면, 해양에서 발달한 지역의 경우 내륙보다 하층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수렴이 나타나며, 시스템의 연직속도와 대류지역 또한 내륙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발생한 선형대류 시스템의 경우 해양과 육지의 발달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육지의 경우 하층의 강한 수렴으로 인해 중층의 건조공기에 의한 대류 억제에도 불구하고 해양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강하게 발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Author(s)
- 이정태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24
- Alternative Author(s)
- Jung-Tae Lee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대기과학과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 3
2.1 Data 3
2.2 Analysis method 6
2.2.1 Transformation of radar data 6
2.2.2 Variational-based wind field synthesis 8
2.2.3 Other considerations 11
3. Results 12
3.1 Precipitation distribution and surface conditions 12
3.2 Environmental condition 14
3.2.1 Synoptic distribution 14
3.2.2 Sub-synoptic distribution 16
3.2.3 Upper-air condition 21
3.3 Radar analysis 23
3.3.1 Structure and features 23
3.3.2 Three-dimensional structure 29
3.3.2.1 Convective region on the onshore 29
3.3.2.2 Convective region on the offshore 33
3.3.3 Time variation of onshore and offshore 37
4. Discussion & Conclusion 40
5. Summary 45
References 47
Acknowledgments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대기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