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BSC를 활용한 개발연구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Research Outcomes by a Research Organization of Private Firm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공업분야 제품의 "개발연구"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성과평가를 위하여 성과평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평가지표를 도출하고, 평가지표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하여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업연구소에서 올바른 성과평가 체계를 수립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으로 필요한 기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소 경영의 핵심요소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연구개발(R&D) 성과평가는 주로 재무적 관점을 중시하는 과거 지향적 평가로서 R&D의 고유한 특성에서 오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평가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다양한 평가요소를 반영한 선행 연구에서도 산업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여 R&D에 대한 성과평가 결과가 연구소의 경영에 활용되는 데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D 활동의 다양한 성과 요인을 균형 있게 평가하기 위해 Norton과 Kaplan(1992)이 개발한 균형성과표 (BSC : Balanced Scorecard) 모형을 활용하여 중공업분야의 “개발연구”에 대한 평가지표를 정의하고,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계층화분석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였다. 중공업분야의 "개발연구" 특성을 고려한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BSC는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의 네 가지 관점에서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각 관점별로 핵심성과지표를 계층화하여 관점간, 성과지표간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개발연구”의 성과평가에서 BSC의 관점별 중요도는 고객 관점, 재무적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 순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연구”에서 고객 관점이 재무적 관점보다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R&D 활동으로부터 나온 결과물(기술)에 대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경우 연구조직의 기여도가 분명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매출 등 재무적 관점은 R&D 활동 결과가 성과(outcome)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보다는 영업, 설계, 생산 등 다른 조직의 추가적인 활동이 필요하므로, 부서간 기여도를 정의하여야 하며, 이 때 연구조직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관점별 핵심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분석하여 중공업분야의 “개발연구”에 대한 성과평가에 보다 적합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Author(s)
문차석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6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41
Alternative Author(s)
Mun, Cha Seok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Advisor
박 병 무
Table Of Contents
요 약 ⅰ
표 목 차 ⅴ
그림목차 ⅶ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제3절 연구의 개요 4

제2장 이론적 고찰 5
제1절 연구개발(R&D)의 개요 5
1. 연구개발(R&D)의 정의 5
2. 연구개발(R&D)의 투입물 및 산출물 8
3. 연구개발(R&D)의 체계 9
제2절 연구개발(R&D) 성과평가 12
1. 연구개발(R&D) 성과평가의 정의 12
2. 연구개발(R&D) 성과평가의 목적 15
3. 연구개발(R&D) 성과평가의 한계점 17
제3절 성과측정과 균형성과표 (BSC) 20
1. BSC의 등장 배경 및 개념 20
2. BSC의 4가지 관점 21
3. BSC의 성과지표 설정 26
제4절 균형성과표의 가중치 부여를 위한 계층화분석법(AHP) 31
1. 계층화분석법 (AHP) 개요 31
2. 중요도의 측정 방법 33

제3장 중공업분야 R&D 성과평가 사례 37
제1절 H사의 사업분야 및 R&D 개요 37
1. 주요 사업분야 37
2. R&D 부문 41
3. H사의 산업 및 R&D 특성 42
제2절 H사의 연구개발(R&D)부문 성과평가시스템 44
1. H사의 R&D부문 성과평가시스템 44
2. H사의 R&D부문 핵심성과지표(KPI) 현황 및 문제점 48

제4장 H사의 실증연구 49
제1절 H사의 R&D부문 성과평가시스템 개발 49
1. BSC의 관점 설정 49
2. BSC 관점별 핵심성과지표(KPI)의 설정 54
제2절 관점 및 핵심성과지표간 가중치의 결정 62
1. 관점별 핵심성과지표간 인과관계의 파악 62
2. 관점 및 핵심성과지표간 가중치의 결정 64
제3절 성과평가시스템 모형개발 73
제4절 H사의 기존 성과평가 지표와 비교 74
1. H사의 기존 성과평가시스템과의 관점 비교 74
2. H사의 기존 성과평가시스템과의 성과지표 비교 75

제5장 결 론 7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7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제언 79

참고문헌 80
ABSTRACT 88
부 록 9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