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Characterization of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고추 (Capsicum annuum) 는 식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미 채소류로서 양념류, 김치류, 고추장 등의 가공뿐만 아니라 고춧가루로 만들어져 식품첨가용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의 고춧가루 소비량은 국민 일인당 연간 2.0~2.5 kg에 이른다. 이는 주요 고추 소비국인 헝가리 200 g, 미국 50 g, 일본 20 g과 비교하여 평균 40~100배로 높아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고추를 소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추는 수분함량이 많아 수확 후 건조, 분쇄하여 사용되며, 홍고추의 경우 수확 후 태양건조와 열풍건조 또는 이 두가지 방법을 병행한 방법으로 수분함량 15% 정도로 건조하여 저장 유통되고 있다. 고추의 주요 성분인 capsaicin, capsanthin, capaorubin, vitamin, 유기산 중에서 capsaicin이 매운맛을 나타내는 주성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psaicin의 효능에 대한 연구로 체액성면역 증진과 암유전자 발현 조절작용 및 항성인병 작용, 에너지 대사율 증진, 살균작용, 3T3-L1 cells에서 세포자살 유도와 지방생성억제 등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고, 이로 인하여 고추는 화장품,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이산화탄소는 낮은 임계점과 무독성, 그리고 용매의 사용량이 적고 부식성이 없어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초임계 유체이며, 기존의 추출법이 가지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기술로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공정인 초임계 이산화탄소 (SC-CO2) 추출법과 hexane을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상품성 있는 고추와 상품성 없는 고추로부터 오일을 추출 하였으며, 추출 조건이 capsaicin 함량 및 지방산 조성,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SC-CO2 추출은 SFE/SFC system (JASCO, Japan)을 이용하여 온도를 40℃로 고정하고, 압력조건은 150-300 bar에서 시행하였으며, 이산화탄소 유량은 2 mL/min로서 총 60분 동안 일정하게 흐르게 하였다. 추출 오일의 capsaicin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 추출 압력을 200 bar로 설정하였으며, 실험실 수준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장치로 더 많은 양을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오일의 지방산 분석에는 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였고, 특히 linoleic acid 함량이 상품성 있는 고추 오일에서 상품성 없는 고추 오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SC-CO2 추출 오일에서 hexane 추출 오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산화 안정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실험에서도 상품성 있는 고추 오일이 상품성 없는 고추 오일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효과가 뛰어 났으며,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또한 상품성 있는 고추 오일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실험에서 상품성 없는 고추 오일보다는 상품성 있는 고추 오일이, hexane 추출 오일보다는 SC-CO2 추출 오일이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성 좋은 고추의 SC-CO2 추출 오일이 가장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고추로부터 기능성 오일을 추출함에 있어 hexane 추출 등과 같은 기존 재래식 유기용매 추출 공정에 비하여 SC-CO2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고추 추출 오일의 화장품,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응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Kim, Ryoung Hee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7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44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전병수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1
Materials and Methods 4
1. Materials 4
2. Sample preparation 5
3. Method 6
3.1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6
3.2 Organic solvent extraction 9
3.3 Analysis of capsaicin by HPLC 10
3.4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with laboratory scale 12
3.5 Measurement of color 15
3.6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GC 16
3.7 Free fatty acid contents (FFA) 18
3.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ed oil 20
3.9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ed oil 25
Results and Discussion 28
1. Oil yield of red pepper oils by SC-CO2 28
2. Comparison of oil yield by SC-CO2 and hexane extraction 30
3. Capsaicin contents 32
4. Color 36
4.1 Color of extracted oils 36
4.2 Color of powder before and after SC-CO2 extraction 37
5. Fatty acid compositions 40
6. Free fatty acid contents 43
7. Antioxidant activity 45
7.1 Total phenolic contents 45
7.2 Total flavonoid contents 47
7.3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48
8. Antimicrobial activity 52
8.1 Paper disc diffusion 52
8.2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53
Conclusion 56
Acknowledgement 57
References 5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