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sea ice in Greenland by using multi-frequency SAR images
- Alternative Title
- 다중주파수 SAR 영상을 이용한 그린란드 해빙 분류
- Abstract
- 해빙의 면적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다년빙의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어 해빙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관측할 필요가 있다. SAR는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극지방을 탐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빙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Radarsat-2, Envisat-ASAR, ALOS-PALSAR영상 및 텍스쳐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각 영상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해빙의 종류는 현장 관측 데이터를 참고하여 first year ice, highly deformed ice, moderately deformed ice, ridge 총 4가지로 분류하였다. 분류를 위해 K-means 알고리즘과 최대 우도법 알고리즘이 사용되었으며, 최대 우도법을 사용했을 때 전체 정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위의 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한 경우, SAR 영상을 사용했을 때 보다 텍스쳐 영상을 사용했을 때 전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C-band인 Radarsat-2 영상과 ASAR 영상의 조합에 L-band인 PALSAR영상을 추가했을 경우, 두 알고리즘 모두 전체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특히 이 조합은 최대 우도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moderately deformed ice를 분류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ASAR 영상과 PALSAR 영상을 조합하여 최대 우도법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 전체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AR텍스쳐 영상과 PALSAR 텍스쳐 영상을 사용했을 경우, 전체 정확도가 88.7%, 카파 계수는 0.83으로 최상위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 주파수 영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Dohyun Hwang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46
- Alternative Author(s)
- 황도현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dvisor
- 윤홍주
- Table Of Contents
- CONTENTS
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ABSTRACT
1. Introduction
2. Data and method
2.1. Study are and SAR data
2.2. Method
3. Results and Consideration
3.1. Backscatter spectrum
3.2. Unsupervised classification
3.3. Supervised classification
3.4. Verification
4. Conclusion
5. References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위성정보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