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asek Job Strain Model과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의 비교 · 분석에 대한 연구
- Abstract
- 196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공업화는 눈부신 경제성장으로 인해, 현재는 세계 12위(2011년 기준)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각 분야의 근로자는 업무량, 책임감, 역할 및 대인 갈등 등 많은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일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부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으로 현재 수백편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또는 발간되고 있으며, 직무스트레스 발전과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Karasek의 Model은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이 개발되기 전 많은 직무스트레스 연구자들이 애용하여 왔으며, 한국형에 맞게 번역과 사용하여 왔고,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분석하고, 심혈관계 질환, 직업상 근골격계 질환, 흡연, 약물, 알코올 중독, 맥박에 미치는 관계를 찾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Model은 외국문화와 생활에 대한 패턴을 바탕으로 연구/개발된 모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여 한국인의 정확한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고자 개발한 것이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이며, 현재는 직무스트레스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 측정모델 및 측정방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 모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후,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고, 두 모델간의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독립 및 종속변수별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를 정확히 표현하는데 일조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모집단 233명을 대상으로 Karasek과 KOSS JCQ를 동시에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으로 상관분석과 Kruskal-Wallis 분석을 통하여 두 모델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았으며, Karasek의 Job Strain Model로 4개의 특정집단으로 나누고, 4개의 특정집단에 대하여 다시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로 측정하여 두 개의 Model을 조합한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여 두 모델 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Author(s)
- 장영본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39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472
- Affiliation
-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장성록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제 2 장 연구 배경 7
2.1 직무스트레스 7
2.1.1 직무스트레스의 개요 7
2.1.2 직무스트레스 문제점 및 실태 10
2.1.3 직무스트레스 관련 선행 연구 14
2.2 직무스트레스 Model 16
2.2.1 Karasek Job Strain Model 개요 및 내용 16
2.2.2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개요 및 내용 23
2.2.3 기타 직무스트레스 Model 29
제 3 장 연구방법 34
3.1 연구대상 34
3.2 설문지의 구성 36
3.3 연구절차 38
제 4 장 연구결과 44
4.1 Kruskal-Wallis 검정 결과 44
4.1.1 연령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 결과 44
4.1.2 결혼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 결과 46
4.1.3 부서형태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 결과 48
4.1.4 근속년수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 결과 50
4.1.5 근무형태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 결과 52
4.2 상관분석 결과 54
4.2.1 연령과 근속년수에 대한 두 모델의 상관관계 54
4.2.2 직무요구에 대한 상관분석 56
4.2.3 직무자율에 대한 상관분석 58
4.2.4 직무자율에 대한 세부분석 59
4.2.5 사회지지, 관계갈등/조직체계에 대한 상관분석 63
4.2.6 직무불안에 대한 상관분석 63
4.3 직무스트레스 측정 모델별 결과 값 66
4.3.1 Karasek 직무스트레스 측정 결과 및 타 업종과 비교 66
4.3.2 KOSS 직무스레스 측정 결과 및 타 업종과 비교 68
4.4 직무스트레스 모델 결과 값 비교 73
제 5 장 결 론 75
참고문헌 77
부 록 8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