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합동토론에 나타난 대통령 후보자들의 수사분석
- Abstract
- 본 연구는 2012년 제 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합동TV토론에 나타난 각 후보자별 수사에 관해 베노이트의 기능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TV토론에 참가한 후보자들의 수사 목적(주장, 공격, 방어)은 무엇인가, 둘째, 중앙선관위에서 선정한 토론 주제별 후보자들의 수사 목적(주장, 공격, 방어)은 무엇인가, 셋째, 토론 형식별 후보자들의 수사 목적(주장, 공격, 방어)은 무엇인가, 넷째, 후보자들은 비유적 표현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차례에 걸친 TV토론을 대상으로 총 536건의 분석단위로 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후보자의 수사 목적(주장, 공격, 방어) 중 후보자는 유권자를 설득하기 위해 상대방의 공격에 대한 자신의 명성을 회복하려는 시도의 표현인 “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격, 주장 순이었다. 후보자별로 차이가 있었다. 박근혜 후보는 방어에, 문재인 후보와 이정희 후보는 공격에 관한 언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야당후보들은 공격에, 집권여당 후보는 방어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베노이트의 수사학의 기능이론에서 한 단계 나아가 비유적 표현들을 유목으로 시도했다. 비유는 후보 본인에게는 긍정적 이미지 강화 전략을, 상대방 후보에게는 부정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전략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uthor(s)
- 김은지
- Issued Date
- 2013
- Awarded Date
- 2013.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3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05
- Alternative Author(s)
- Kim, Eun Ji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오창호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론-----------------------------------------------1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1
Ⅱ. 이론적 배경 ----------------------------------------5
1.수사학에 관한 연구---------------------------------5
1)설득으로서의 수사학--------------------------------5
2)수사학의 5가지 규범-------------------------------8
3)수사학의 변천과정-----------------------------14
4)정치와 수사학----------------------------------18
5)대통령후보자의 수사-------------------------------21
6)베노이트(Benoit)의 기능이론--------------------------24
2. TV토론에 관한 연구---------------------------------37
1)후보자 TV토론-----------------------------------37
2)TV토론효과------------------------------39
3)TV토론형식-------------------------------41
4)TV토론주제--------------------------------44
3. 선행연구검토--------------------------------------45
1) TV토론 수사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45
2) TV토론에 관한 선행연구 --------------------------50
3) TV토론 형식(format)에 관한 연구--------------------51
Ⅲ. 연구문제 및 방법-------------------------------53
Ⅳ. 연구 분석 및 결과------------------------------------62
Ⅴ. 결론 --------------------------------------------94
1. 요약 및 결론-------------------------------------94
2. 제언---------------------------------------------99
참고문헌---------------------------------------------10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