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관계절의 한국어 번역 유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영어 관계절은 명사 수식어를 명사구 안에 포함시키는 종속절(subordinate clauses)이다. 이것은 기능적으로 지시적 확인(referential identification)이라는 문법의 일부가 된다(Givón 1993). 영어의 관계절은 복합 명사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절이며, 명사구 수식(modification)이 관계절의 주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영어에서는 수식 되어질 때, 명사구 전후 모두 가능하며, 명사구 앞에서 수식되어지는 것은 전치수식(premodification), 명사구 뒤에서 수식되어지는 것을 후치수식(postmodification)이라 한다(Quirk, et al 1985). 영어 후치수식에는 관계절과 동격절(appositive clause)이 있으며, 관계절은 후치수식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반면 한국어 관형절의 경우에는 전치 수식과 후치 수식 모두를 허용하는 영어와 달리 오직 전치 수식만 허용한다.
이 점에서 우리는 현저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영한번역과정에서 두 언어 상응 표현을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연구주제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관계절이 한국어로 번역되어질 때에는 아래의 (1)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축어적으로(literally) 번역되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2)의 예와 같이 영어와는 다른 관계절 유형이나 (3)의 예와 같이 다른 구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Author(s)
박소연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4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22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김은일
Table Of Contents
초록 ⅱ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6
2.1 Keenan & Comrie의 명사구 접근 위계 6
2.2 유생성 7
2.3 Ikegami(1991)의 언어 유형론 8

Ⅲ. 관계절 유형 및 영한 번역 유형 9
3.1 영어 관계절 유형 9
3.2 한국어 관계절 유형 11
3.2.1 영어 관계절의 한국어 번역시 관계화 구문 12
3.2.2 영어 관계절의 한국어 번역시 비관계화 구문 23

Ⅳ. 결론 30

참고 문헌 3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