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기업집단의 소유구조 연결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Ownership-Network Analysis On SK Business Group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의의는 SK그룹의 소유구조를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통해 그 변화의 정도와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는 데에 있다.

국내 기업집단의 소유구조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진행되었으나, IMF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한국 기업에서 소유구조의 문제는 특히 재벌 기업의 소유 집중, 정치, 사회적인 갈등을 불러일으키는데, 소유구조는 주식 소유인의 다양한 지분내역에 관한 것으로 소유구조가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연구 표본으로 선정된 SK그룹은 사업구조의 다각화와 매출액 규모에서 국내 대표 기업집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시자료를 활용하여 2002년, 2007년, 2012년 SK그룹의 사업전개와 소유구조를 분석하였으며, SK그룹의 소유구조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학 분야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사회 연결망 분석기법(Social Network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주요 지표는 연결정도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다.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다각화하며 사업구조를 재편하던 SK그룹은 소버린과 같은 외국자금의 공격을 대비하고 회사가치를 올리기 위해 최태원 회장의 지분확보를 해야 했으며, 그 과정에서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지배력 강화에 중요한 전략이었다. 지주회사 체제의 SK그룹은 소유구조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도입한 지주회사제도가 오히려 지배주주의 지배권을 강화하고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비춰지는 문제를 갖고 있다. 적은 지분으로 다각화 된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고 출자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총수는 유동성 위험관리과 함께 합리적인 자본 조달 방법을 고민해야 하겠다.
Author(s)
노석민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6530
Alternative Author(s)
Noh, Seok Min
Affiliation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과경영학전공
Advisor
홍재범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2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기업집단 4
1. 기업집단의 정의 4
2. 한국 기업집단의 형성 5
제2절 소유구조 10
1. 소유구조의 정의 10
2. 소유구조 이론 11
제3절 소유구조에 대한 선행연구 13
1. 공병호(1995)의 연구 13
2. 강원·신현한·장진호(2005)의 연구 14
3. 강형철·박경서·장하성(2005) 16
4. 김진방(2005)의 연구 17
5. 김현종(2006)의 연구 20
6. 강영철·빈기범·조성훈·윤정선(2007) 22
제4절 소유구조와 사회연결망분석에 대한 연구 24
1. 장덕진(1999)의 연구 24
2. 강민정(2001)의 연구 25
3. 최충규(2008)의 연구 27

제3장 연구방법론 29
제1절 연구표본 29
제2절 연구방법 30
1. 중심성 33

제4장 분석결과 38
제1절 SK 기업집단 현황 38
1. SK의 기업집단 형성 과정 38
2. SK 기업 현황 40
3. SK 소유 현황 44
4. 사업구조 46
제2절 SK 기업집단의 사회연결망 분석 결과 50
1. 연결정도중심성(Degree Centrality) 50
2.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56
3.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61

제5장 결론 65
제1절 연구결과 및 시사점 65
제2절 한계 및 향후연구방향 67

69

기업집단 SK의 업종별 매출현황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경영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