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유튜브 콘텐츠 제작 교육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ducation Method of YouTube Contents Produc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 Abstract
- 학교교육의 목표로는 학습자가 빠른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수업 방식으로 문제중심학습이 제기되었다. 문제중심학습은 구성주의에 기초한 모형으로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상황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찾아 조사하고 탐구하는 과정으로, 협동학습을 통해 토의와 토론을 하며 이를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협동심,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학습모형이다. 유튜브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점을 공략하여 빠르게 성장한 동영상 사이트이다. 유튜브의 영향력은 특히 10대들에게서 그 영향력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고 유튜브와 관련된 분야들이 선호하는 직업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에 따라 학교에서도 디자인, 동영상 제작 등의 수업이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최근 학생들에게서 관심을 받고 있는 유튜브 콘텐츠가 무엇인지 조사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영상 수업이 학생들의 유튜브와 관련된 희망 진로에 적합한지 분석해본 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유튜브 콘텐츠 제작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adapt to rapid change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learning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their own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providing creative and systematic curriculum to arouse learners' interest. Problem-oriented learning was raised as a way of satisfying this. Problem-oriented learning is a model based on constructivism that finds, investigates, and explores problems centered on the problem situations that occur in real life. It is a learning model that improves thinking skills, cooperation,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through discussions and debates in cooperative learning. YouTube is a fast-growing video site that targets what users want. YouTube's influence is increasing, especially among teenagers, and YouTube-related fields are emerging as a preferred professional group. According to this social trend, classes such as design and video production are being introduced in schools. In respons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YouTube contents were that were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from students through a survey for literature research and status survey, analyzed whether the current video classes were suitable for students' desired career related to YouTube, and developed a YouTube content production class model that applied problem-oriented learning.
Subject Language : Problem-Based Learning, YouTube Content, Video Editing Training, Creativity, Cooperative Learning, Effective Teaching Model
- Author(s)
- 김율희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문제중심학습 유튜브 콘텐츠 동영상 편집교육 창의력 협동학습 효과적인 수업모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5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2904
- Alternative Author(s)
- KIM YUL H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전공
- Advisor
- 장청건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3. 선행연구 고찰 5
가.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5
나. 동영상 편집에 대한 선행연구 8
Ⅱ. 이론적 배경 12
1. 문제중심학습 12
가. 문제중심학습의 개념 12
나.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13
다. 문제중심학습의 수업모형 17
라.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22
마. 문제중심학습의 교육적 효과 24
2. 유튜브 콘텐츠 27
가. 유튜브의 성장과 특성 27
나. 유튜브 콘텐츠 30
다. 교육에서의 유튜브 콘텐츠 활용 사례 34
라. 유튜브 콘텐츠 제작을 활용한 교육의 방향 35
3. 동영상 편집에 관한 고찰 38
가. 동영상 편집의 개념과 원리 40
나. 동영상 편집의 기법과 종류 43
Ⅲ.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및 동영상 편집 교육의 실제 53
1.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검토 53
가. 디자인과 55
나. 문화콘텐츠과 57
2. 동영상편집 교육활용 사례 60
가. 방송 콘텐츠 제작 61
나. 영화 콘텐츠 제작 61
다. 광고 콘텐츠 제작 62
라.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 63
3. 고등학교 동영상 편집 교과서 내용 분석 63
가. 영상제작수업교육교재(Ⅰ) 64
나. 맛있는 디자인 프리미어 프로 CS6 & CC 65
다. 고등학교 디지털영상제작 67
4. 동영상 편집 교육 실태 조사 결과 68
가. 설문조사 개요 68
나. 조사대상 69
다. 학생과 교사 설문응답 비교분석 83
Ⅳ.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 90
1. 교수․학습지도 계획안 90
가. 학습목표 91
나. 교재 92
다. 학습자료 및 준비물 93
라. 주별 교육계획서 94
마. 교수․학습지도안 95
2. 수행평가계획 및 채점기준표 103
가. 수행평가의 주안점 103
나. 수행평가 영역별 평가계획 103
다. 수행평가 영역별 채점 세부기준 104
라. 성취율과 성취도 105
마. 영역별 성취수준 106
3. 수업 만족도 조사 진행 계획안 106
Ⅴ. 결 론 108
1. 결론 108
2. 제언 110
3. 참고문헌 112
4. 부록 11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디자인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